박태환 좇는 황선우, 쇼트코스 세계선수권 출전으로 아시안게임·올림픽 여정 시작

박태환 좇는 황선우, 쇼트코스 세계선수권 출전으로 아시안게임·올림픽 여정 시작

최병규 기자
입력 2021-12-13 15:10
수정 2021-12-13 15: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6일 UAE 아부다비에서 개막하는 대회 자유형 100m 등 세 종목 출전

황선우(18·서울체고)가 쇼트코스(25m 단수로) 세계선수권을 발판 삼아 아시안게임과 올림픽 등 빅이벤트 여정을 시작한다.
이미지 확대
황선우가 14일 경북 김천실내수영장에서 열린 제102회 전국체육대회 수영 남자 고등부 혼계영 400m 결승에서 서울 선발팀의 마지막 주자로 출발대에서 출발하고 있다. 황선우가 역영한 서울 선발팀은 3분43초07의 기록으로 우승했다.  김천 연합뉴스
황선우가 14일 경북 김천실내수영장에서 열린 제102회 전국체육대회 수영 남자 고등부 혼계영 400m 결승에서 서울 선발팀의 마지막 주자로 출발대에서 출발하고 있다. 황선우가 역영한 서울 선발팀은 3분43초07의 기록으로 우승했다.
김천 연합뉴스
황선우는 오는 16일(현지시간)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의 에티하드 아레나에서 개막해 21일까지 닷새 동안 열리는 국제수영연맹(FINA) 쇼트코스 세계수영선수권대회에 출전한다.

쇼트코스 대회는 롱코스보다 턴 횟수가 많아 턴 동작이나 잠영 입수 직후의 돌핀킥 등 기술적인 부분을 가다듬기 위한 좋은 기회다. 세계 정상급 선수들도 레이스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종종 참가한다.

자유형 100m와 200m, 개인혼영 100m 등 세 종목에 출전하는 황선우에게 이번 대회는 내년 일본 후쿠오카 세계선수권대회(롱코스)와 중국 항저우아시안게임, 2024년 파리올림픽으로 이어지는 여정의 출발점이다.

그는 첫 출전한 지난 7월 올림픽에서 자유형 100m 아시아 기록 및 세계주니어기록(47초56), 자유형 200m 한국 기록 및 세계주니어기록(1분44초62)을 새로 쓰며 자타가 인정하는 ‘포스트 박태환’으로 자리매김했다.
이미지 확대
황선우가 29일 일본 도쿄 아쿠아틱스센터에서 열린 올림픽 수영 남자 자유형 100m 결선을 마치고 전광판에 뜬 기록을 확인하고 있다. 도쿄 올림픽사진공동취재단
황선우가 29일 일본 도쿄 아쿠아틱스센터에서 열린 올림픽 수영 남자 자유형 100m 결선을 마치고 전광판에 뜬 기록을 확인하고 있다.
도쿄 올림픽사진공동취재단
따라서 유일무이한 박태환의 쇼트코스 3관왕 기록을 황선우가 좇을 지 주목된다. 박태환은 중학생이던 2004년 아테네올림픽에서 실격당한 뒤 2006년 상하이 쇼트코스 세계선수권 두 개의 은메달로 세계 제패의 시동을 걸었다.

2007년 멜버른 세계선수권(롱코스) 자유형 400m에서 금메달, 200m에서 동메달을 땄고 2011년 상하이 대회 자유형 400m에서 다시 금메달을 챙겼다. 2016년 쇼트코스에서는 자유형 200m·400m·1500m 등 3관왕에 오르며 한국 수영사를 새로 썼다.

황선우는 이번 대회에서 자유형 100m와 200m, 그리고 개인혼영 100m에 출전한다. 지난 10월 도하에서 열린 FINA 경영월드(쇼트코스)에 생애 첫 출전, 개인혼영 100m와 자유형 100m에서 각각 동메달을, 자유형 200m에서 금메달을 움켜쥐며 쇼트코스에 대한 국제무대 경쟁력도 확인했다. 금 소식이 전해진다면 박태환 이후 5년 만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3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3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