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8개 저축銀 PF사업장 전수조사

98개 저축銀 PF사업장 전수조사

입력 2011-05-24 00:00
업데이트 2011-05-24 11: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수조사 대상 전국 470개 PF 사업장

금융당국이 98개 저축은행의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사업장에 대한 전수 조사에 착수한다.

당국은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저축은행 PF 대출을 3단계로 평가해 부실 자산을 정리할 방침이다.

배준수 금융위원회 중소금융과장은 24일 “조만간 저축은행의 PF 대출 사업장에 대한 전수조사에 들어간다”며 “다음달 말까지 조사를 마치고 3분기 중 부실을 처리하겠다”고 밝혔다.

조사 대상은 현재 영업 중인 98개 저축은행이 보유한 전국 470개 사업장이다. 이들 PF 사업장의 대출 규모는 약 7조원으로 파악됐다.

이번 전수조사에는 금융감독원이 올해 초부터 가동한 PF 대출 상시감독 전산시스템을 가동, 각 PF 사업장의 대출금과 사업 진행상황 등이 담긴 데이터베이스(DB)를 활용해 속도를 내기로 했다.

당국은 전수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PF 사업장을 ▲정상 ▲주의 ▲부실우려 등 3단계로 나눠 부실우려 사업장은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에 팔아넘기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당국은 이번 PF 전수조사 외에도 저축은행의 건전성 전반을 확인해 하반기 저축은행 구조조정을 추진할 계획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하반기에 추가로 쓰러지는 저축은행이 나올 수도 있다는 시장의 우려를 고려해 저축은행 전반의 건전성을 일괄적으로 살펴볼 생각이다”고 말했다.

이번 전수조사는 저축은행의 PF 부실이 올해들어서도 심해져 추가 구조조정이 필요해졌기 때문이라는 게 당국의 설명이다.

당국은 지난해 저축은행의 714개 PF 사업장에 대한 전수조사를 바탕으로 부실채권 매입에 2조8천억원을 투입한 바 있는데, 올해도 부동산 경기 불황으로 PF 사업이 좌초하고 저축은행 건전성이 나빠질 우려가 여전하다는 것이다.

지난해 말 현재 저축은행 PF 채권의 연체율은 25% 넘게 치솟았고, 부실채권을 의미하는 고정이하 채권의 비율도 9%대에 달했다.

당국은 이번 전수조사 결과 ‘부실우려’로 분류된 채권을 매입하는 자금은 캠코의 구조조정기금 3조5천억원에서 마련키로 했다.

다만 국제회계기준(IFRS)를 7월부터 적용해야 하는 7개 상장저축은행과 9개 선택적 적용대상 저축은행(상장 저축은행의 계열사) 등 16개 저축은행에 대한 IFRS 적용은 5년간 미루기로 했다.

이들 저축은행에 IFRS를 적용하면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하락하고 대손충당금 적립 부담이 커져 캠코에 대한 부실채권 매각이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당국은 대신 비상장 저축은행에 대해서도 충당금 적립 비율을 단계적으로 올려 유예기간이 지난 뒤에는 상장사와 비상장사 모두 같은 수준의 충당금 적립 부담을 지도록 할 방침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