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훈, 트위터로 FTA 설득 작업

김종훈, 트위터로 FTA 설득 작업

입력 2011-11-03 00:00
업데이트 2011-11-03 00: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종훈 외교통상부 통상교섭본부장이 ‘트위터’를 통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설득 작업에 나섰다. 김 본부장이 설득 무기로 트위터를 선택한 것은 젊은이들의 소통 창구인 인터넷 공간에서 한·미 FTA에 대한 반대 목소리가 적지 않다는 점을 감안한 것으로 보인다.

김 본부장은 2일 오후 4시부터 1시간 반 동안 소셜 뉴스사이트인 위키트리 주관 아래 트위터에 접속, 한·미 FTA에 대한 일반인들의 질문을 직접 받고 답변하는 형식으로 한·미 FTA의 당위성을 강조했다. 이날 트위터 공간에서는 250여명의 트위터들이 질문 공세에 펴 한때 접속이 지연되기도 했다. 질문은 야당이 독소 조항으로 지적한 ‘투자자국가제소권(ISD)제도’와 국민투표 필요성, 이익의 불균형, 기대 효과 등에 집중됐다.

김 본부장도 인사말에서 “한·미 FTA에 대해 사실 아닌 내용이 온라인상에 많이 유포돼 인터뷰에 응하게 됐다.”고 서두를 꺼냈다. 이어 김 본부장은 본론으로 들어갔다. 여야가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ISD와 관련, “투자 유치국 정부의 부당하고 차별적인 조치로부터 투자자를 보호하는 장치이며 투자 유치에 도움이 된다.”고 강조했다. 국민투표 요구에는 “체결된 FTA를 두고 국민투표한 나라는 없으며 스위스의 경우 체결된 조약의 비준 동의가 아니었고, 미국과 FTA 협상을 계속할 것인지를 국민투표한 바 있다.”면서 선을 그었다.

조건부 비준 여부는 개인 간 계약을 예로 들어 “합의 위반”이라며 일축했고 재협상에 따른 ‘이익의 불균형’ 주장은 “자동차 분야에서 일정 부분 양보했지만 그래도 그 분야에서 우리가 취할 이익이 더 크다.”고 반박했다. 김 본부장은 한·미 FTA 기대 효과에 대해선 “미국 시장은 크고 다양한 소비 계층이 있다. 우리 대기업뿐만 아니라 5000개 중소기업이 있는 자동차부품, 섬유, 신발 등 중소기업에 기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본부장은 “오늘의 대한민국은 우리 부모 세대가 이뤘다. 여기에서 정지할 수 없다. 땅덩어리는 작지만, 국민이 보다 유복하게 살 수 있는 기반을 지금 닦아 가야 한다.”고 말을 맺었다. 이날 김 본부장의 트위터 인터뷰는 예정된 시간 20분을 넘겨 1시간 30분 동안 진행됐다. 하지만 일부 트위터 이용자 가운데는 여전히 김 본부장에게 ‘매국노’ 등 인신 공격성 글과 비속어를 쓰는 등 눈살을 찌푸리게 했다.

오일만기자 oilman@seoul.co.kr
2011-11-03 17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