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신평사들은 부실 대기업 신용등급 안 내렸다

국내 신평사들은 부실 대기업 신용등급 안 내렸다

입력 2011-11-06 00:00
업데이트 2011-11-06 10: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조선ㆍ해운ㆍ건설 재무 악화에도 신용등급 미조정회계사ㆍ사외이사도 ‘침묵’…기업 감시시스템 먹통

국제 신용평가사들이 국내 일부 대기업의 신용등급을 내리고 있으나 국내 신용평가사들은 등급조정 움직임을 전혀 안 보이고 있다.

6일 KIS채권평가와 동양종금증권, 신용평가기관 등에 따르면 2008년 이후 한국기업평가, 한국신용평가, 나이스신용평가 등 3대 국내 신용평가사의 평가 대상 기업수(금융사 제외)는 지난 6월 말 현재 370곳으로 2007년 말 406곳보다 11.5% 줄었다.

그러나 AA등급은 39곳에서 80곳으로 두 배 수준으로 불어났다. A등급도 100곳에서 123곳으로 23% 늘어났다.

반면, 상대적으로 낮은 등급인 BBB등급은 105곳에서 66곳으로, 투기등급인 BB 이하는 154곳에서 93곳으로 각각 급감했다.

지난해 국내 신평사들은 투자 가능 등급인 BBB 이상의 기업 중 모두 75개사의 신용등급을 올렸으나 등급을 내린 곳은 전혀 없었다. 올해 들어 3분기까지 신용등급 상향조정은 31개사, 하향조정은 4개사로 심한 불균형 상태다.

우량등급 기업들의 재무상태가 좋아진 것도 아닌데도 평가 등급은 상승했다.

영업현금흐름(OCF)을 부채로 나눈 비율을 보면, 지난 6월 말 현재 AAA등급은 23.5%로 2007년의 37.9%보다 14.4%포인트 떨어졌다. AA등급은 21.9%에서 18.4%로, A등급은 19.6%에서 7.1%로 각각 낮아졌다.

동양종금증권의 강성부 연구원은 “국내기업들의 평균 신용등급이 BBB에서 A로 올라왔다. 그러나 기업들의 신용도가 좋아졌다고 보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외국 신평사들은 한국의 간판급 대기업의 등급을 과감하게 내렸다.

무디스는 지난 3일 포스코의 신용등급 ‘A3’에 대한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조정했다. 전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포스코의 장기기업신용등급과 채권등급을 A에서 A-로 강등했다.

S&P는 지난달 14일 LG전자의 장기채권 신용등급을 ‘BBB’에서 ‘BBB-’로 내렸다. 전날인 13일 무디스는 이 종목에 대한 신용등급 Baa2에 대한 전망을 ‘부정적’으로 하향조정했다.

국내 신평사들은 포스코에 AAA, LG전자에 AA 등 최고 수준의 등급을 여전히 유지하고 있다.

나이스신용평가 관계자는 “아직 실적 저조가 펀더멘털(기초여건) 악화로 이어지지 않아 등급조정을 안 했다. 국내외 시각차도 있으며 신평사별로 입장이 다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신평사들이 기업들의 신용도를 제대로 평가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많다. 특히 조선, 해운, 건설 등 재무상태가 악화하는 업종의 기업의 신용등급을 조정하지 않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동양증권의 변정혜 연구원은 “해운업체들은 실적악화와 선박투자 부담으로 어려운 상황이다. 현대상선은 올해 들어 3분기까지 수천억 원의 적자를 기록했고 업황 전망도 밝지 않다”고 밝혔다.

이어 “업체별로 선박투자 부담에 따른 재무지표도 나빠졌다. 그러나 지난 3년간 한진해운, 현대상선, STX팬오션, SK오션, 유코카캐리어스 등 5개사의 신용등급은 모두 A를 유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신평사 외에도 기업을 감시하고 평가해야 하는 국내 시스템은 곳곳에서 먹통 상태다.

기업의 사외이사와 감사는 이미 대주주와 경영진의 ‘바람막이’로 전락한 지 오래됐고 회계법인들은 기업들의 요구에 맞춰 재무상태를 평가하고 있다. 증권사 애널리스트도 ‘매도’ 의견을 주저한다.

이 때문에 전반적으로 기업의 감시 시스템이 붕괴한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나온다.

회계법인의 한 회계사는 “기업에서 감사료를 주니 입맛에 맞게 해달라는 대로 해주는 경우가 많다. 회계감사 결과가 ‘의견거절’ 수준으로 심각하지 않으면 적당한 선에서 기업의 요구에 맞춰준다”고 말했다.

한국금융연구원의 이시연 연구원은 “한국에서는 기업 감시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 회계법인도 문제가 많고 신용평가사들도 제 기능을 못하고 있다. 사외이사들과 감사는 거수기 역할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