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 늘었지만 적자가구는 6년만에 최대

소득 늘었지만 적자가구는 6년만에 최대

입력 2011-11-18 00:00
업데이트 2011-11-18 13: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분기 명목소득 6.5%↑‥실질소득은 1.6%↑

3분기에 가계의 명목 소득이 6%대로 늘면서 증가세를 이어갔지만 높은 물가 탓에 실질 소득은 1.6% 증가에 그쳤다.

적자가구는 소득이 중하위권인 1~3분위에서 작년보다 늘면서 6년 만에 가장 많아졌다.

소금, 말린 고추, 장(醬)류가 포함된 조미식품에 대한 소비지출은 가격 폭등의 영향으로 무려 65% 늘면서 역대 최고 상승률을 나타냈다.

다만, 분배 지표인 소득 5분위 배율은 4년째 개선됐다.

18일 통계청이 발표한 3분기 가계동향에 따르면 전국 2인 이상 가구의 명목 소득은 월평균 389만8천원으로 작년 3분기보다 6.5%, 지출은 319만원으로 6.2% 늘었다.

명목 소득은 고용 호조에 힘입어 8분기째, 지출은 10분기째 증가세다.

소득 가운데 근로소득은 6.2%, 사업소득은 4.9%, 재산소득은 20.8%, 이전소득은 10.7%가 각각 늘었다.

지출 중 소비지출은 244만4천원으로 5.8%, 소득세 등 경상조세(5.6%), 취등록세나 양도세 등 비경상조세(11.0%), 연금(9.2%), 사회보험(12.5%), 이자비용(12.6%) 등을 합한 비소비지출은 74만6천원으로 7.4% 늘면서 비소비지출의 증가율이 더 높았다.

특히 이자비용은 금리인상의 영향으로 월평균 9만원선을 돌파했다.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뺀 처분가능소득은 315만1천원으로 6.3% 증가했다.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을 뺀 가계흑자액은 월평균 70만8천원으로 7.7% 늘고 처분가능소득 대비 소비지출액인 평균소비성향은 77.5%로 0.3%포인트 하락했다.

물가 수준을 고려한 실질 소득은 높은 물가의 영향으로 1.6% 증가에 그쳤다. 실질 소비지출은 2.1% 늘었다.

항목별 소비지출 증감률을 보면 곡물(12.5%), 조미식품(65.1%) 지출이 늘어난 식료품ㆍ비주류음료(7.0%), 자동차구입(37.7%)과 차량연료비(8.1%)가 포함된 교통(12.6%), 의류ㆍ신발(9.4%), 주거ㆍ수도ㆍ광열(6.1%) 등이 많이 늘었다.

또 음식ㆍ숙박(5.2%), 보건(4.9%), 오락ㆍ문화(4.8%), 통신(4.0%), 가정용품ㆍ가사서비스(1.2%), 주류ㆍ담배(0.9%) 등은 상대적으로 증가율이 낮았다. 교육비는 정규교육비 감소에도 사교육비 증가로 1.0% 늘었다. 학원ㆍ보습교육비는 2.5% 늘면서 6분기 만에 증가했다.

적자가구 비율은 28.2%로 작년 3분기보다 1.3%포인트 악화하면서 2005년 3분기(28.3%) 이후 가장 높았다. 소득 1분위(하위20%)가 59.3%로 6년 만에 최고치로 올랐고 2분위(31.8%)와 3분위(22.5%)가 작년 3분기보다 3.6%포인트, 1.8%포인트나 상승한 영향이 컸다. 반면 4분위(17.7%)와 5분위(9.5%)는 0.2%포인트, 1.1%포인트 하락했다.

소비지출이 2~3분위에서 더 높은 증가율을 나타낸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상위 20% 소득을 하위 20% 소득으로 나눈 소득 5분위 배율은 균등화 가처분소득 기준으로 5.19배로 호전돼 해당 통계를 집계한 2003년 이래 최저치를 나타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