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오일 약진… 정유업계 판도 바뀌나

S-오일 약진… 정유업계 판도 바뀌나

입력 2011-11-19 00:00
업데이트 2011-11-19 00: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내 정유업계에서 S-오일의 신장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특히 최근 경기 침체에 따라 폐업하는 주유소가 늘고 있음에도 S-오일 폴을 내건 주유소는 유일하게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어 정유업계의 판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쏠린다.

18일 정유업계와 한국주유소협회 등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기준 전국 주유소 수는 1만 2906개. 지난 1월 말 1만 2988개에서 82개가 줄었다. 이는 최근 국내외 경기 침체에 따라 문을 닫는 주유소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폴 사인별로는 업계 1위인 SK이노베이션 주유소의 폐업 숫자가 가장 많았다. 1월 말 4554개(35.1%)에서 9월 말 4452개(34.5%)로 102개나 줄었다. 2위인 GS칼텍스 주유소 역시 같은 기간 3446개(26.5%)에서 3381개(26.2%)로 65개 감소했다. 현대오일뱅크 주유소는 2430개(18.7%)에서 2408개(18.6%)로 소폭 감소했다.

반면 4위인 S-오일 주유소는 1912개(14.7%)에서 1934개(15.0%)로 22개 증가했다. 농협, 무폴 등 기타 주유소가 646개(5.0%)에서 731개(5.7%)로 증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정유 4사 중 유일하게 주유소가 늘었다. 주유소 숫자가 전체 판매량에도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업계에서는 상당히 의미 있는 변화로 받아들이고 있다. S-오일 관계자는 “올 들어 신규 주유소를 조기에 발굴해 유치한 사례가 늘고 있다.”면서 “브랜드 이미지 역시 개선되면서 주유소 사업자들이 S-오일 간판을 달겠다고 먼저 찾아오는 경우도 상당하다.”고 귀띔했다.

이에 따라 SK이노베이션 35%, GS칼텍스 27%, 현대오일뱅크 20%, S-오일 17% 등의 순으로 공고화된 국내 정유업계 순위에도 조만간 변화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정유업계의 한 관계자는 “SK이노베이션과 GS칼텍스, S-오일 등 지난 15일 1차 입찰에 참여한 정유사들이 겉으로는 정부의 의지에 떠밀려 알뜰주유소 사업에 나선 것처럼 보이지만 1% 포인트도 쉽게 늘리기 어려운 시장점유율의 대폭 상승이라는 효과를 계산하고 있을 것”이라면서 “향후 추가 입찰 결과에 따라 국내 정유업계의 판도가 상당히 변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2011-11-19 15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