高물가 충격…의식주 빼곤 가계소비 줄인다

高물가 충격…의식주 빼곤 가계소비 줄인다

입력 2011-11-20 00:00
업데이트 2011-11-20 10: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의식주 지출 증가…1분위는 소비의 절반 차지

3분기 저소득층의 엥겔계수가 7년 만에 가장 높아진 것은 고(高)물가로 서민 가계가 받은 충격을 그대로 보여준다.

가격이 올라도 소비를 크게 줄일 수 없는 게 식료품이기 때문이다.

식료품을 포함한 의식주 비용 부담이 커지면서 서민층은 문화 등 다른 분야에 대한 지출을 줄이면서 생활이 팍팍해질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저소득층 의식주 비용이 전체 소비지출의 절반

20일 통계청의 3분기 가계동향에 따르면 소득 1분위(하위 20%)의 전체 소비지출은 122만3천원으로 작년 3분기보다 5.7% 증가한 반면 식료품ㆍ비주류 음료을 사는 데 쓴 비용은 27만9천원으로 7.2% 늘었다.

이에 따라 1분위의 엥겔계수는 22.8%로 작년의 22.5%보다 더 악화됐다. 2004년 24.4% 다음으로 가장 높아 7년 만에 최고 수준이기도 하다.

최근 외식 증가 추세를 고려해 소비지출 항목 가운데 일반 식당, 배달 음식, 패스트푸드 등에 쓴 비용인 ‘식사비’까지 포함하면 1분위의 실질적 엥겔 계수는 33.0%까지 올라간다. 저소득층은 소비의 3분의 1을 식생활에 쓴 셈이다.

이런 수준은 극단적인 비교지만 상위 20%인 5분위에 견줘보면 쉽게 알 수 있다. 5분위 엥겔 계수는 12.2%로 1분위의 절반 수준이며, 전년 12.4%에서 오히려 개선됐다. 식료품ㆍ비주류 음료 지출의 증가율도 3.8%에 그쳤다.

집세가 오르면서 주거비 부담 역시 서민들이 상대적으로 더 늘었다.

월세와 주택 유지ㆍ수리비용을 포함한 주거 및 수도ㆍ광열비 지출은 3분기에 1분위는 8.0%나 늘었지만 5분위는 오히려 0.4% 떨어졌다.

여기에 의류ㆍ신발 비용까지 더하면 1분위가 ‘의식주(의류ㆍ신발+식료품ㆍ비주류 음료+식사비+주거ㆍ수도ㆍ광열)’에 지출한 돈은 61만6천원으로 소비지출의 50.3%를 차지했다.

◇얇아진 지갑‥의식주外 지출 줄인다

이처럼 필수적인 의식주 비용 부담이 커질수록 지갑은 얇아지고 다른 물건이나 서비스 이용에 쓰는 돈은 줄어든다. 대표적인 게 문화생활 비용이다.

1분위의 공연 관람 등 오락ㆍ문화 비용은 3분기에 4만9천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5.8% 줄었다. 5분위는 최근 경기가 둔화 흐름에서도 해당 지출을 작년 3분기 23만6천원에서 올 3분기 24만4천원으로 3.5% 늘린 것과 대조를 보였다. 특히 여행비는 5분위가 6만3천원인데 반해 1분위는 5천원으로 10분의 1도 안됐다.

교육비는 1분위의 지출이 3분기 10만1천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9.4% 증가하긴 했지만 5분위는 이보다 6배 가까이 많은 60만1천원으로 격차는 여전했다.

고물가 여파는 전체 평균으로 봐도 가계의 소비지출에 변화를 몰고 왔다.

3분기 전체 가구의 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항목별 비중은 식료품ㆍ비주류음료(0.16%포인트 상승), 교통(0.76%p), 의류ㆍ신발(0.17%p) 등 필수 지출에서 높아진 반면 주류ㆍ담배(-0.06%p), 가정용품ㆍ가사서비스(-0.17%p), 오락ㆍ문화(-0.05%p), 보건(-0.06%p)등에선 하락했다. 먹고 사는 데 지장 없는 지출은 줄이고 있는 것이다.

◇물가 부담 여전‥단기 재상승 우려

이런 상황은 4분기에도 계속될 전망이다. 지난달 가까스로 3%대로 떨어진 소비자물가가 이달에 다시 4%대 상승을 넘보며 단기 재상승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정부 관계자는 “11월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기저효과 등을 고려할 때 4%를 웃돌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작년 10월과 11월에 4.1%로 올랐다가 3.3%로 안정된 만큼 지난달에서는 물가 상승률을 떨어뜨리는 쪽으로 작용했던 기저효과가 이번 달에는 반대로 작용할 수 있다는 얘기다.

더욱이 10월 수입물가는 작년 같은 달보다 16.0% 올라 6개월 만에 최대 상승폭을 나타냈고 국제유가는 두바이유 기준으로 배럴당 110달러선을 오르내리고 있다.

공공요금은 철도, 도로통행료를 올리는데 이어 원가부담이 커진 전기요금도 겨울철 피크를 앞두고 다시 올릴 기세다. 도시가스 요금이 지난달 오른 데 이어 전기요금까지 더 오르면 월동용 난방비 부담도 커질 수밖에 없다.

논란 끝에는 연내 인상은 물 건너갔지만 서울의 버스, 지하철 등 대중교통요금도 내년 초에는 인상이 불가피해 보인다. 우유 가격이 오르고 맥주 값도 들썩이고 있어 당분간 가계의 물가 부담은 줄지 않을 전망이다.

<표> 3분기 소득 1, 5분위 소비지출 현황 (단위: 원, %)



























































































































































































































































































1분위(하위 20%)5분위(상위 20%)
항목지출액증감율비중지출액증감율비중
소득1,209,0937.07,505,1446.6
가계지출1,477,4076.05,298,9475.5
소비지출 1,223,2295.7100.03,773,4535.1100.0
01.식료

품ㆍ비주

류음료
279,4147.222.8461,1973.812.2
02.주류

ㆍ담배
20,276-2.61.733,5204.00.9
03.의류

ㆍ신발
50,1468.64.1222,8918.55.9
04.주거

ㆍ수도ㆍ

광열
162,5718.013.3238,911-0.46.3
05.가정

용품ㆍ가

사서비스
44,155-0.63.6157,805-8.74.2
06.보건127,1818.010.4203,599-0.95.4
07.교통100,696-1.48.2569,27926.115.1
08.통신 84,2513.56.9180,8323.94.8
09.오락

ㆍ문화
49,360-5.84.0244,3363.56.5
10.교육 101,4649.48.3609,627-3.716.2
11.음식

ㆍ숙박
125,4049.210.3488,4355.912.9
-식사비123,6498.910.1468,0025.412.4
12.기타

상품ㆍ서

비스
78,3147.46.4363,0218.69.6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