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파업 사흘째… 물동량 ‘반토막’

화물연대 파업 사흘째… 물동량 ‘반토막’

입력 2012-06-27 00:00
업데이트 2012-06-27 10: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운송거부 참여율 20.9%… ”아직 큰 차질 없어”

화물연대의 파업이 사흘째에 접어든 가운데 전국 주요 물류 거점의 물동량이 반토막이 난 것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우려했던 물류대란 수준에는 아직 접어들지 않은 것으로 정부는 분석하고 있다.

국토해양부는 지난 26일 밤 10시 기준으로 부산항 등 전국 13개 물류거점의 하루 컨테이너 반출입량이 평시 대비 50.5%인 3만6천702TEU로 뚝 떨어졌다고 27일 밝혔다.

그러나 컨테이너 장치율은 44.4%로 평시(44.5%)와 거의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아직은 수송 차질이 미미하다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26일 밤 10시 현재 멈춰선 화물차량은 전체의 20.9%에 해당하는 총 2천340대로 파악됐다. 이는 2008년 6월 화물연대 전면 파업 이틀째의 운송 거부율 71.5%에 비해 크게 못미치는 것이다.

운송거부 차량은 26일 정오 집계 당시에는 2천958대를 기록, 전체 차량의 26% 수준까지 도달했으나 정오를 기점으로 차츰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국토부는 파악하고 있다.

국토부는 운송 차질을 최소화하기 위해 27일부터 군위탁 컨터이너차량 100대를 부산항(55대), 광양항(5대), 의왕 ICD(내륙컨테이너기지·40대)에 투입, 본격 가동한다.

대체 운송 수단인 화물열차 운행도 평시에 비해 대폭 늘릴 계획이다. 파업 이틀째인 지난 26일에는 화물열차 운행을 평시 대비 8.3% 증회한 314회까지 늘렸다.

한편 국토부는 27일 오후 2시 화물연대와 첫 교섭을 연다. 표준운임제, 통행료 인하 등의 안건이 논의될 이날 협상은 이번 파업의 조기 해결 여부를 판가름할 분수령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