꿋꿋한 외환시장 불안한 주식시장

꿋꿋한 외환시장 불안한 주식시장

입력 2012-06-28 00:00
업데이트 2012-06-28 00: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유로존 위기 등 거센 외풍 속 국내 금융 ‘두 얼굴’

유로존 위기가 해소되지 않은 데다 미국과 중국의 경기 둔화 우려까지 겹치면서 주식시장이 불안한 행보를 거듭하고 있다. 23일부터 26일까지 3거래일간 외국인은 국내 주식시장에서 1조원 이상을 순매도했다. 전문가들은 그간 외환유출입 강화 조치나 통화 스와프 등을 통해 외환시장은 강해졌지만 주식시장은 여전히 불안하다고 진단했다. 위기시에 급작스러운 외국인 자금 유출을 막기 위해 조건부 금융거래세 도입 등을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고 했다.
이미지 확대


27일 삼성경제연구소가 발표한 ‘한국 금융시장이 대외충격에 강해졌나’ 리포트에 따르면 원·달러 환율은 2010년 4월 말 남유럽 재정위기 때 30일간 144.9원이 급등했고, 지난해 8월 5일 미국신용등급 강등 소식에 30일 동안 128.4원이 올랐지만, 그리스 유로존 탈퇴 우려가 제기된 지난 5월 4일부터 30일간 54.2원이 오르는 데 그쳤다.

특히 지난달 원·달러 환율은 2.58% 상승해 주요 23개국 통화의 달러화 대비 평균 상승폭(3.94%)을 밑돌았다. 같은 기간 동안 CDS프리미엄도 각각 82bp(1bp=0.01%), 88bp가 올랐던 것과 달리 이번에는 31bp만 상승했다. 지난 5월 국고채 금리는 0.17% 떨어져 지난해 미국신용등급 강등 때의 0.3% 하락보다 변동성이 적었다.

반면 주식시장은 여전히 불안했다. 지난달 그리스의 유로존 탈퇴 우려로 코스피지수는 30일간 206.7포인트가 하락했다. 남유럽 재정위기(-180.7포인트)나 미국 신용등급 하락 시기(-291포인트)와 비교할 때 변동폭이 여전히 크다. 최근 코스피 지수 변동성은 1.35%로 주요 35개국 주가지수의 평균 변동폭인 1.29%보다 높다.

특히 지난 22일부터 4거래일간 코스피 지수는 86.31포인트가 급락했다. 불과 1주일 전에 1900선을 넘었지만 하락을 거듭, 이날 장중에는 1800선이 붕괴되기도 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0.16포인트(0.01%) 하락한 1817.65를, 코스닥 지수는 1.31포인트(0.27%) 내린 483.03을 기록했다. 외국인은 이날 2500억원을 순매도했다. 외국인은 22일부터 3거래일간 1조 414억원어치를 팔아치우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그간 정책적 노력으로 외환시장의 내성이 강해졌다고 평가한다. 지난해 외환건전성 부담금을 부과하고, 외국인 채권투자 비과세 조치를 철회했으며, 중국·일본·아세안 등과 통화 스와프를 맺어 금융안전장치를 선제적으로 마련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주식시장은 외국인의 보유 비중이 30% 이상으로 높고 기관투자자의 보유 규모는 13%에 불과해 불안한 상황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미국과 영국은 각각 기관투자자 비중이 49%, 71%다.

정대선 삼성경제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외환 정책 노력이 시작된 지난해 9월부터 올해 4월까지 외국인의 채권투자자금은 150억 달러가 순유입됐지만 주식 등의 투자금은 29억 달러가 순유출됐다.”면서 “주식 시장의 외국인 자금 유출입 변동폭을 완화하기 위해 외국인 자금이 일정 규모 이상 들어오면 거래세를 부과하는 ‘조건부 금융거래세’ 도입을 검토할 때가 됐다.”고 말했다.

이경주기자 kdlrudwn@seoul.co.kr

2012-06-28 2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