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한국판 토빈세 검토…‘환율 주권’ 수호 목적

정부 한국판 토빈세 검토…‘환율 주권’ 수호 목적

입력 2013-01-30 00:00
업데이트 2013-01-30 14: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종구 차관보 “우리는 ‘우리 숙제’ 할 시기”

급격한 외화 유출입을 막으려고 한국판 토빈세 도입 등 다양한 방안이 추진된다.

최종구 기재부 국제경제관리관(차관보)는 30일 은행회관에서 열린 ‘해외자본 유출입 변동성 확대, 이대로 괜찮은가’ 세미나에 앞서 외환시장 안정 방안을 발표했다.

최 차관보는 정부의 ‘즉시 시행 과제’를 설명하고서 “앞으로 기업ㆍ역외시장(NDF)의 투기 수요가 가시화하면 은행의 선물환 거래 여력을 축소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선물환포지션 관리 방식을 현행 월평균에서 하루평균이나 주 평균으로 바꾸고 외국계은행 150%, 국내은행 30%로 정해진 선물환포지션 한도를 추가로 줄이는 조치를 도입한다는 것이다.

필요하면 선물환포지션 산정 시 NDF 거래분에 가중치를 부여하고 NDF 거래의 중앙청산소(CCP) 이용을 의무화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역외시장의 거래정보를 확보, 투기 움직임을 차단하려는 조치다.

외화거래에 세금을 부과하는 이른바 ‘토빈세’도 검토하기로 했다.

최 차관보는 “토빈세 취지를 살려 우리 실정에 맞게 수정한 다양한 외환거래 과세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현행 외환건전성 부담금 부과 요율을 강화하는 방안 역시 추진 대상이다. 외국환은행에 비예금성 외화 부채에 5~20bp(bp=0.01%)씩 매기는 요율을 더 높이는 쪽으로 검토되고 있다.

채권에 거래세를 부과하는 방안은 최근 유럽연합(EU)의 도입 동향을 봐가며 논의와 검토를 하겠다고 선을 그었다.

최 차관보는 “최근 (주요국의) 양적완화는 전례가 없는 것이어서 대응조치를 하려면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며 “미국과 일본이 ‘자기들의 숙제’를 하고 있다면 이제 우리도 ‘우리의 숙제’를 해야 할 시기다”며 환율주권 수호에 나설 계획임을 피력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