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년 1년 연장하면 6년 후 성장률 1%P 상승”

“정년 1년 연장하면 6년 후 성장률 1%P 상승”

입력 2013-06-01 00:00
업데이트 2013-06-0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삼성생명 은퇴연구소

정년을 1년 연장하면 6년 뒤 경제성장률이 1% 포인트 더 오른다는 분석이 나왔다. 장년층 고용을 늘린다고 해서 청년층의 일자리가 줄어드는 것은 아니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박기출 삼성생명 은퇴연구소장은 31일 서울 중구 명동 세종호텔에서 열린 ‘제3차 인구·고령화 포럼’에서 영국 정부의 시뮬레이션 연구결과를 소개하며 이렇게 말했다. 박 소장은 장년층 고용을 위해 사회복지, 의료·건강관리, 관광, 금융 등 서비스 부문의 일자리를 늘려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는 “우리나라 장년층의 일자리 욕구가 매우 높아 장년층 10명 가운데 9명이 퇴직 이후에도 계속 일하고 싶어하지만 고령이라는 이유로 구직이 어렵다”고 지적했다.

박 소장은 장년층 고용이 청년 실업 증가를 일으킬 수 있다는 주장에 대해 “서로 상관관계가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1993년부터 2010년까지 영국의 장년층과 청년층 실업률을 조사한 결과를 보면 연령에 상관없이 실업률의 주된 원인은 경기 침체에 있었다”고 말했다. 또 “장년층은 청년층과 일자리를 놓고 다투는 대체관계가 아니라 서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보완관계”라고 반박했다. 그 근거로 장년층과 청년층 간 직업 선호도의 차이, 각자에게 요구되는 기술이나 경험 수준의 차이 등을 들었다. 그는 우리나라 장년층이 주로 선택하는 직종은 농업, 운송관리직, 단순 노무직, 서비스직이지만 청년층은 교육전문가, 경영·회계 관련 사무직, 국가기관, 대기업을 선호해 일자리를 놓고 경합할 가능성이 낮다고 설명했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13-06-01 1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