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세탁기 파손혐의’ LG전자 사장 등 수사의뢰

삼성전자, ‘세탁기 파손혐의’ LG전자 사장 등 수사의뢰

입력 2014-09-14 00:00
업데이트 2014-09-14 17: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삼성 “독일 IFA 기간에 매장 CCTV서 손괴장면 확인” LG전자 “경쟁사 제품 만져보는 건 통상적 하는 일”

삼성전자가 최근 독일 베를린에서 개최된 유럽 최대 가전전시회 ‘IFA 2014’ 기간에 자사 세탁기를 고의로 파손했다며 LG전자 HA사업본부 조성진 사장 등을 검찰에 수사의뢰했다.

삼성전자는 법무팀 검토를 거쳐 LG전자의 조 사장과 세탁기 담당 조모 임원, 신원불상 임직원 등을 업무방해, 재물손괴, 명예훼손 등 혐의로 서울중앙지검에 수사의뢰했다고 14일 밝혔다.

삼성전자는 LG전자 임직원이 자사의 크리스털블루 세탁기 도어 연결부(힌지)를 고의로 파손하는 장면을 CCTV로 확인했다고 주장했다.

삼성전자는 IFA 기간에 베를린 시내 자툰 유로파센터 매장에서 크리스털 블루 세탁기가 파손돼 다른 매장을 점검하던 중 자툰 슈티글리츠 매장의 세탁기 3대가 동일한 형태로 망가진 사실을 확인해 현지 경찰에 신고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슈티글리츠 매장 측과 CCTV를 확인한 결과 양복 차림의 동양인 남자 여러 명이 제품을 살펴보다가 그 중 한 명이 세탁기를 파손시키고 현장을 떠나는 장면을 확인했다고 주장했다.

삼성전자 측은 제품을 파손시킨 사람이 국내업체(LG전자) 사장이란 점을 확인했지만 국가적 위신과 사회적 파장을 고려해 현지에서는 사안을 확대하지 않고 국내에 돌아와 사건을 검찰에 수사의뢰한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 측은 LG전자가 크리스털 블루 세탁기를 파손시켜 소비자들에게 원래 하자가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함으로써 제품 이미지를 실추시켰고 거짓 해명으로 자사의 전략제품을 교묘히 비하했다고 주장했다.

삼성전자는 “정확한 사실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서 사법기관의 판단을 구할 수밖에 없다는 결론에 이르게 됐다. 아울러 기업 간의 올바른 경쟁질서 확립 차원에서도 진실 규명은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LG전자는 이날 오후 ‘경쟁사 수사의뢰 관련 입장’이라는 자료를 통해 “해외 출장시 경쟁사의 현지 제품과 사용환경을 살펴보는 것은 어느 업체든 통상적으로 하는 일”이라고 반박했다.

LG전자는 “특정회사 제품을 파손시켜 제품 이미지를 실추시킬 의도가 있었다면, 굳이 임직원들이 직접 그런 행위를 할 이유가 없다는 게 상식적”이라고 주장했다.

LG전자는 “현지 매장은 일반 소비자 누구든지 제품을 직접 만져보고 살펴볼 수 있는 양판점”이라며 “사장을 비롯한 임직원들이 매장을 방문해 여러 제품을 살펴본 사실은 있다”고 말했다.

LG전자는 “다른 회사 세탁기들과 달리 유독 특정회사 해당 모델은 세탁기 본체와 도어를 연결하는 힌지 부분이 상대적으로 취약했다”고 주장했다. LG전자는 검찰 조사에 적극 협조하겠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LG전자 입장에 대해 “거짓해명을 반복하는 것에 실망스럽다. 한 회사 최고 임원이 남의 매장에서 제품을 파손하고 떠난 건 도덕적으로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매장 측에서 어떤 요구도 없었다’고 해명했는데 이미 자툰 슈티글리츠 매장 측에서 9월 5일 베를린 45구 경찰서에 고발한 바 있다”고 재반박했다.

이에 LG전자는 다시 반박자료를 내고 “경쟁사는 ‘매장 측에서 베를린 경찰에 고발한 바 있다’고 했으나 현재까지 LG전자 독일법인은 물론 본사도 매장 측과 경찰 당국으로부터 어떤 연락도 받은 바 없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