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이드폰, 데이터 유출에 취약”

“안드로이드폰, 데이터 유출에 취약”

입력 2011-05-18 00:00
업데이트 2011-05-18 11: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英언론, 보안전문가 인용해 보도

구글의 안드로이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스마트폰 수백만 대가 데이터 유출에 취약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고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 온라인판이 18일 보도했다.

이 신문에 따르면 독일 울름대의 보안 전문가들은 안드로이드폰과 인터넷 사이의 정보 이전을 해커들이 손쉽게 파고들어 개인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안드로이드폰에 탑재된 많은 앱은 구글의 검색 서비스와 연계하기 전 디지털 ID 카드라고 할 수 있는 ‘인증 표지’(authentification token)를 요구한다.

전문가들은 접속시마다 로그인 과정을 생략하게 만들어주는 이 표지를 해커들이 훔칠 수 있다고 말했다.

즉 해커가 안드로이드폰과 와이파이(Wi-Fi) 네트워크를 통한 인터넷 접속을 모니터링하고 있다가 이 표지를 도용해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개인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보안 전문가들은 자신들의 조사 결과를 올린 블로그에서 “각 구글 사용자의 캘린더, 연락처, 사적인 웹 앨범 등이 그대로 노출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경우에 따라서는 해커가 피해자의 상사나 비즈니스 파트너들의 이메일 주소를 변경해 사업과 관련된 민감한 정보나 기밀 자료를 빼낼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들은 이 같은 데이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핀(PIN) 서비스를 활용하거나, 평소 사용하지 않는 와이파이 및 블루투스를 꺼 놓아야 한다는 등 여러 팁을 제공했다.

전문가들은 그러나 “안드로이폰의 보안상 약점이 발견되기는 했지만, 해커들이 실제로 도용했는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애플사의 아이폰을 제외한 대부분의 스마트폰은 안드로이드 운영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