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U+, 보이스톡 입장 번복…고객 우롱?

LGU+, 보이스톡 입장 번복…고객 우롱?

입력 2012-06-14 00:00
업데이트 2012-06-14 14: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LG유플러스가 스마트폰 무료통화(m-VoIP) 전면 개방이란 당초 입장을 번복하고 제한적으로만 허용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14일 “가능한 전면 개방 원칙은 지키겠지만 변동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LG유플러스는 이르면 이번 주말까지 m-VoIP 관련 약관을 확정짓고 다음주중 방송통신위원회에 신고할 계획이다.

LG유플러스의 이 같은 입장 선회는, 막상 m-VoIP을 전면 허용할 경우 늘어날 데이터 트래픽이나 음성통화 매출 감소 등을 감당할 여력이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이 관계자는 “지난주에 (m-VoIP 전면 개방을) 발표할 때도 향후 트래픽 추이 등을 보고 결정하겠다고 했었다”는 점을 상기시켰다.

하지만 당시 LG유플러스의 발표는 m-VoIP 전면 허용으로 받아들여졌고 LG측도 이에 토로 달지 않았었다. 카카오톡이 “사랑해요~ LG”라는 관련 공지문을 띄울 정도였다.

따라서 LG유플러스의 이런 태도는 가입자 유지 및 확대를 위해 고객을 우롱한 처사라는 비판을 면치 못할 전망이다.

일각에선 LG유플러스의 m-VoIP 전면 허용 발표 배경에 ‘데이터 패킷 인스펙션’(DPI)이란 기술이 중요하게 작용했다는 분석이 일찍부터 제기돼왔다.

DPI는 보이스톡 같은 특정 애플리케이션만 선별 차단하는 기술로서, 경쟁사와 달리 LG유플러스는 이를 갖고있지 않기 때문에 m-VoIP 전면 허용은 일종의 고육책이란 주장이다.

LG유플러스측도 DPI 기술에 대해 LTE망에는 탑재돼있지만 기존 망에는 추후 적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석우 카카오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보이스톡 논란과 망중립성 토론회’에서 “지난주 표면적으로 보이스톡 차단을 해제하기로 했던 LG유플러스가 여전히 가입자들의 보이스톡 이용을 제한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LG유플러스측은 “그건 이석우 대표의 착각인 것 같다”며 향후 약관 변경이 이뤄져야 적용될 부분이라고 해명했다.

노컷뉴스

※위 기사는 기사콘텐츠 교류 제휴매체인 노컷뉴스의 기사입니다. 이 기사에 관한 모든 법적인 권한과 책임은 노컷뉴스에 있습니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