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시흥, 일산보다 넓은 신도시급

광명·시흥, 일산보다 넓은 신도시급

입력 2010-04-01 00:00
업데이트 2010-04-01 00: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차 보금자리지구 어떤 곳

3차 보금자리주택 5개 지구는 서울 1곳, 인천 1곳, 경기 3곳에 자리했다. 서민주택 수요가 많은 곳(서울 항동, 인천 구월), 그린벨트 훼손으로 대규모 개발이 필요한 곳(광명·시흥), 강남권 수요를 보완하는 곳(하남 감일, 성남 고등) 등 선정 이유도 제각각이다.

이미지 확대


31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10월 이후 사전예약이 실시될 3차 보금자리지구의 분양가는 주변시세 대비 50~70%인 3.3㎡당 800만~1000만원이 될 전망이다. 전반적인 경쟁률도 낮아질 것으로 점쳐진다.

서울 강남권이 대상지에서 빠진 만큼 4월 실시될 우면·내곡·세곡 등 2차 지구로의 ‘청약 쏠림현상’이 나타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다만 전문가들은 “이들 보금자리주택의 열기가 식지 않아 기존 주택시장은 당분간 침체를 이어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분양가 3.3㎡당 800만~1000만원

5개 지구 중 하남 감일과 성남 고등지구는 강남 대체수요를 겨냥한 곳이다. 3차 지구 중 가장 높은 인기를 끌 것으로 보이지만 강남권인 우면·세곡·내곡 등 2차지구보다는 접근성이 떨어진다.

하남 감일지구는 위례신도시와 불과 1㎞ 떨어져 있다. 서울외곽순환도로, 지하철 5호선 마천역 등이 가깝다. 성남 고등지구는 인릉·청계산 등과 연계된 중·저밀도 단지로 개발된다. 수서와 판교신도시 사이에 자리하며 분당~내곡 고속화도로, 용인~서울 고속도로 등과 가깝다. 위례신도시(3.3㎡당 1190만~1280만원)와 강남 세곡(1150만원)의 보금자리주택 분양가를 고려하면 예상 분양가는 1000만원 안팎이다.

광명·시흥지구는 부지면적이 1736만 7000㎡로 사실상 신도시급이다. 3차 지구 전체 면적의 82%에 해당한다. 일산신도시(1574만㎡)보다 크고 분당신도시(1964만㎡)보다 작다. 9만 5000가구의 주택 가운데 6만 9000가구가 보금자리주택으로 지어진다. 부지 면적이 큰 만큼 3~4차례에 걸쳐 분양되는데, 10월 이후 3차 분양에선 2만 2000가구의 보금자리주택이 공급된다.

광명KTX역과 가깝고 제2경인고속도로, 서울외곽순환도로, 지하철 7호선 인근이다. 제3경인고속도로도 개통될 예정이다. 2007~2008년 분양한 인근 임대·공공아파트가 3.3㎡당 990만원선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예상 분양가가 3.3㎡당 900만~1000만원이다. 다만 닥터아파트 이영진 이사는 “광명은 기존 보금자리주택지구에 견줘 규모가 커 보상이 오래 걸릴 우려가 있고 시흥 일대는 편의·기반시설이 전혀 없는 게 약점”이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지구 내에 1970년대 폐광부지가 자리해 중금속 오염에 따른 토양 복원이 과제다. 지구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군용철도는 위례신도시 내 군용 골프장처럼 막바지까지 혼선을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

●“특별공급 활용이 청약전략 관건”

스피드뱅크 박원갑 소장은 “신혼부부·생애최초 등 특별공급을 어떻게 활용하느냐가 청약전략의 관건”이라며 “정부는 민간주택과 보금자리 주택의 충돌을 막기 위해 (보금자리) 분양아파트보다 장기 임대아파트를 늘려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오상도 윤설영기자 sdoh@seoul.co.kr
2010-04-01 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