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전보(電報)/이춘규 논설위원

[씨줄날줄] 전보(電報)/이춘규 논설위원

입력 2011-05-18 00:00
업데이트 2011-05-18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염상섭은 우리 문학의 근대성을 한 차원 높인 작가로 평가받는다. 대표적인 단편 ‘만세전’은 도쿄 유학생인 주인공이 아내가 위독하다는 전보(電報·telegram)를 받고 조선으로 귀국했다가 다시 일본으로 돌아가기까지를 다뤘다. 3·1운동 이전 조선의 식민지 현실이 사실적으로 묘사됐다. 민족의 잠재된 저항의식을 자극했다는 평도 있다. 심훈(동방의 애인), 나도향(춘성) 등 일제시대에 활약한 작가들 작품에도 전보가 자주 등장한다.

우리나라에서 전보 업무가 시작된 것은 1885년 8월이다. 서울과 인천 사이, 지금의 경인고속도로 노선을 따라 깔린 전신을 이용했다. 청나라 기술과 자본에 의존했다. 일본은 1895년 청·일전쟁에서 승리한 뒤 전보사업권을 가져갔다. 국제전보 업무는 1913년 12월 일제에 의해 서울과 도쿄 사이에 개통되었다. 일제는 민족문화 말살 정책의 일환으로 1941년 7월에는 한글 전보를 전면 폐지해 버렸다. 1946년에야 한글 전보는 부활했다.

전보는 이용자가 알리려고 하는 정보를 전기통신설비를 이용, 종이에 기록해 수취인에게 신속하게 배달하는 통신수단이다. 전화나 이메일이 일상화되기 이전까지 중요한 통신수단이었다. 1970년대만 해도 서울에서 근무하는 수많은 지방 출신 젊은 근로자나 학생들은 고향에서 ‘○○○ 위독 급래 요망’이라는 전보에 가슴이 철렁 내려앉곤 했다. 지방의 부모가 ‘급송금 요망’이라는 자녀의 전보에 시름하는 모습은 영화에도 자주 등장했다.

세계 최초의 전보는 1844년 미국 워싱턴과 볼티모어 사이에 가설된 철도용 전신 시설을 이용해 배달됐다. 영국(1846), 독일(1848), 프랑스(1850), 이탈리아(1860) 등 유럽의 여러 나라로 전보가 퍼져나갔다. 전보는 제국주의 팽창기 전쟁 등을 치르면서 각국에 전파됐다. 일본은 1869년 12월 도쿄와 요코하마 간 국내 전보가, 국제 전보는 1871년 덴마크 자본에 의해 개시됐다. 현재 전보 사업은 대부분 국가에서 위기를 맞고 있다.

국내 전보는 생명이 질기다. 디지털 시대 아날로그 통신 수단의 대표주자다. 전보 착신 건수는 하루 7166건으로 한달 평균 20만건에 달한다. 비용은 전화나 팩스로 신청할 경우, 기본 50자가 제공되고 다섯 글자 추가 때마다 100원씩 오른다. 전보는 해마다 줄고 있다. 스마트폰이 등장한 2009년 267만건에서 지난해에는 238만건으로 1년 새 30만건이 줄었다. 그래도 인사를 전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슬픔보다는 승진축하 등 기쁨을 많이 배달한다.

이춘규 논설위원 taein@seoul.co.kr

2011-05-18 3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