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은행 합병/곽태헌 논설위원

[씨줄날줄] 은행 합병/곽태헌 논설위원

입력 2011-05-20 00:00
수정 2011-05-20 00: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지난 1997년 1월 6일 김영삼 대통령이 연두 기자회견을 통해 금융개혁위원회 설치 방침을 밝히면서 은행 합병에 관한 다양한 시나리오가 본격적으로 나왔다. 그해 말 외환위기 때문에 국제통화기금(IMF)에 구제금융을 신청하는 신세로 전락했지만, 1997년 초만 해도 외환위기 가능성은 전혀 거론되지도 않을 때였다.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의 은행과 비교할 때 국내 은행의 규모가 너무 작으니 시너지 효과가 있는 은행끼리 합병하는 게 좋지 않으냐는 얘기가 많이 흘러나왔다.

이러한 합병 시나리오가 외환위기를 거치면서 실제로 이뤄진 것도 있다. 선발 시중은행인 조흥은행과 한일은행의 합병설, 후발 시중은행인 하나은행과 보람은행의 합병설은 우량은행 간의 결합이라는 이유에서 그럴듯하게 나돌았다. 특수은행인 산업·수출입·장기신용은행의 합병설도 심심치 않게 나왔다.

이런저런 합병설 중 가장 유력한 것은 국민은행과 외환은행의 결합이었다. 소매금융 강자인 국민은행과 국제금융에 강한 외환은행의 합병이 이상적이라는 이유에서다. 1995년 일본에서는 국내부문이 강한 미쓰비시은행과 국제시장에서 명성이 있던 도쿄은행이 상호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결합하면서 자산 세계 1위의 은행이 됐다. 이 사례가 국민은행과 외환은행의 합병설에 힘을 더 실어줬다.

국민은행 측에서는 합병설이 나올 때마다 “제발 그런 기사는 쓰지 말아달라.”고 하소연하곤 했다. 당시 시중은행 중에서도 외환은행은 임직원들의 학벌이 최고 수준이었다. 집안 좋은 자녀도 외환은행에는 많았다고 한다. 국민은행은 외환은행과 합병하면 주도권 싸움에서 뒤질 것으로 보고, 합병설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였다. 하지만 세상만사가 어디 뜻대로 되겠는가. 외환은행은 조흥·상업·제일·한일·서울은행 등 다른 대형 시중은행처럼 대기업에 많은 부실 대출을 한 탓에 외환위기를 피해가지 못했다. 반면 국민은행은 주택은행과 마찬가지로 대기업 대출에 제약이 있었던 덕분에 살아남을 수 있었다. 기업이든, 사람이든 운이나 팔자가 있는 건 아닐까.

요즘 또 합병문제로 시끄럽다. 산업은행지주가 우리금융지주를 인수하는 시나리오가 나온다. 민영화 대상인 산은이 주체가 돼야 하는지, 외환위기를 거치며 국내 은행도 상당히 커졌는데 굳이 초대형 은행을 만드는 게 능사인지는 곰곰이 생각해 볼 일이다. 흐름에 역행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되지도 않을 일에 힘을 빼는 것만큼 어리석은 짓도 없다.

곽태헌 논설위원 tiger@seoul.co.kr
2011-05-20 31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