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선풍기/이춘규 논설위원

[씨줄날줄] 선풍기/이춘규 논설위원

입력 2011-05-24 00:00
업데이트 2011-05-24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류 최초의 부채는 식물의 넓은 잎으로 만들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더위에 시달리던 인간이 나뭇잎을 흔들어 바람을 일으켰다. 왕이나 지위가 높은 사람은 노예들이 대신 부채질을 했다. 영화나 그림 속에 남아 있다. 한국·중국·일본 등에서는 일찍부터 부채가 사용됐다. 15~16세기에는 동양의 부채들이 서양에서 인기를 끌었다. 예술 부채로 선물용이 많았다. 부채는 본래 더위를 쫓는 데 쓰였으나 의례용 또는 장식용으로 많이 쓰이게 됐다. 기업들은 여름철 광고용으로 활용한다.

한국에서는 가는 대로 살을 만들고, 종이 또는 헝겊을 발라 부채를 만들었다. 전북 전주와 전남 나주 등지의 부채가 유명하다. 종류는 매우 다양하다. 고급스러운 합죽선(合竹扇)은 미술품이나 골동품으로도 소장된다. 태극선(太極扇)은 특별히 많다. 승려의 머리처럼 둥그렇게 만든 승두선(僧頭扇), 바깥쪽에 마디가 있는 대를 사용한 죽절선(竹節扇), 부채살도 많고 퍼짐이 반원 모양으로 넓게 퍼지는 부채인 광변선(廣邊扇)도 있다.

선풍기는 기계식 부채다. 최초의 기계식 선풍기는 19세기 초 중동에서 쓰인 푼카라는 제품이었다. 1850년대는 현재의 탁상선풍기 모양으로 된 것에 태엽을 감아 사용하는 것이 발명됐다. 전기모터를 이용한 선풍기는 에디슨이 고안했다. 1882년 미국 매사추세츠 주의 스카일 스카츠 휠러 박사는 날개가 두개 있고 책상이나 탁자 위에 올려놓을 수 있는 상업용의 작은 선풍기를 발명해 시판했다. 우리나라에서는 1960년 국산 선풍기가 양산됐다.

전기선풍기의 날개는 본래 두개였다. 그 후 세 날개가 주류였다. 최근 효율성이 중시되며 5날개 선풍기도 등장했다. 4날개, 6날개도 있다. 하지만 선풍기 자체가 에어컨에 밀려 빛을 잃어가는 듯하다. 사무실은 물론 집집마다 한두대의 에어컨이 보급되어 있다. 에어컨의 과다 사용으로 인한 냉방병은 자주 문제가 된다. 최근 전기료가 들썩이는 데다 참살이가 부각되며 선풍기가 다시 인기를 끌고 있다.

동일본대지진으로 전력난이 심각한 일본에서는 선풍기가 날개돋친 듯 팔린다고 한다. 에어컨보다 50%나 절전되는 게 강점. 대형 가전제품 양판점들은 매장입구에 선풍기 코너를 마련했다. 선풍기 매출이 예년보다 4∼5배나 늘고 있다. 15배 이상 늘어난 곳도 있다. 4000∼6000엔대가 많이 팔린다. 3만엔(약 40만원)짜리 절전형 고급 기종도 잘 팔린다. 만들기만 하면 팔려 나가 업계는 즐거운 비명이다. 지진이 몰고온 선풍기 전성시대다.

이춘규 논설위원 taein@seoul.co.kr
2011-05-24 3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