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제3 정당/이도운 논설위원

[씨줄날줄] 제3 정당/이도운 논설위원

입력 2011-11-23 00:00
업데이트 2011-11-23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워싱턴 특파원 시절인 2004년 미국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제3 후보’ 랄프 네이더의 선거사무실을 방문했다. 시민운동가 네이더는 녹색당 후보로 출마했던 2000년 대선 당시 승부처였던 플로리다 주에서 9만 7000표를 획득, 공화당 조지 W 부시 후보가 민주당 앨 고어 후보를 537표 차로 누르고 승리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 2004년 무소속으로 출마한 네이더 선거사무소의 총괄책임자였던 케빈 지스는 “이라크 전쟁, 친이스라엘 정책 등에서 보듯 공화당과 민주당의 정책은 거의 같다.”면서 “두 당이 모든 미국인을 대표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네이더 후보의 지지층이 “열 여덟에서 서른까지의 젊은이들”이라면서 “우리는 ‘기업이 지배하는 민주주의’(Corporate Democracy)의 아웃사이더이지만 국민을 위한 민주주의에서는 인사이더”라고 말했다. 네이더는 그해 미 전역에서 1% 미만의 지지율을 기록했다.

앞서 1992년 미 대선에서는 정보기술(IT) 사업으로 거부가 된 로스 페로가 돌풍을 일으켰다. 그도 공화·민주 양당의 기성정치에 반기를 들고 나왔다. 지지율이 한때 40%를 육박, 공화당 조지 H W 부시 후보와 민주당 빌 클린턴 후보를 앞서기도 했지만 첫번째 TV 토론을 계기로 추락했다. 페로는 결국 낙선했지만 18.9%의 지지를 받았다. 또 페로가 일관되게 주창했던 재정 적자 해소 필요성은 클린턴 대통령이 받아들여 실제로 임기 중에 재정 흑자로 돌려놓는 결과를 가져오기도 했다.



우리나라에서도 대통령 선거 때마다 제3의 후보가 등장하곤 했다. 1992년 대선에서는 정주영 현대그룹 회장이 국민당을 만들어 출마했다. 1997년 대선에서는 신한국당 경선에서 패배한 이인제 의원이 탈당, 국민신당 후보로 출마했다. 2007년 대선에서는 이회창 전 한나라당 총재가 대선 직전 탈당, 무소속으로 출마했다. 지금까지 제3 정당의 후보는 모두 3위를 차지하는 데 그쳤다.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의 인기가 올라가면서 주변에서 제3의 정당 창당이나 제3 세력의 규합 같은 얘기들이 흘러나온다. 한편으로는 안 원장을 미국의 페로 후보와 비교하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최근 공개된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안 원장 중심의 제3 세력은 역대 우리나라와 미국의 제3 세력보다는 훨씬 높은 지지를 받고 있다. 그러나 선거에서 ‘~한다면’이라는 가정은 아무 소용이 없다. 정치를 하려면 선거에 뛰어들어 직접 지지를 확인하는 길밖에 없다.

이도운 논설위원 dawn@seoul.co.kr
2011-11-23 3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