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애플을 넘어서려면/이수원 특허청장

[기고] 애플을 넘어서려면/이수원 특허청장

입력 2011-11-30 00:00
업데이트 2011-11-30 00: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근 정보통신업계의 화두는 단연 ‘애플’이다. 애플은 올 1~3분기 매출액 815억 달러, 순이익 199억 달러라는 실적을 올렸고, 2분기를 기준으로 전체 휴대전화 시장 매출의 28%, 수익의 66%를 차지했다. 새 제품이 출시되면 구매자들이 장사진을 이루는 장면을 연출하면서 많은 기업이 애플을 배우고 따라하기에 바쁘다.

이미지 확대
이수원 특허청장
이수원 특허청장
애플의 성공 비결이 궁금하다. 스티브 잡스라는 탁월한 지도자, 미국이라는 나라의 거대하고 역동적인 시장경제적 환경,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및 콘텐츠가 융합된 제품을 통해 게임의 법칙을 바꾼 경영전략 등 여러 요인이 있다. 특히 애플의 인재 발굴·활용 시스템과 지식재산 경영전략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애플은 매년 6월 전 세계 언론과 관련업계가 주시하는 가운데 샌프란시스코에서 개발자회의(WWDC)를 개최하는 자리에서 신제품을 발표한다. 세계 각지에서 몰려 온 소프트웨어 개발자와 자사 개발자 간 상담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풍성하게 하고, 상담과정에서 개발능력이나 아이디어가 뛰어난 사람은 현장에서 직원으로 채용한다고 한다. 지식재산과 관련해서 애플의 전략을 속단할 수는 없으나, 경영의 핵심요소로 간주하고 있음은 확실하다. 최근 애플은 자사의 수익모델을 보호하기 위한 특허포트폴리오가 미흡하다고 보았는지 노텔이라는 통신장비회사의 특허를 인수하려고 26억 달러의 비용을 냈다. 그리고 삼성전자·구글·HTC 등 정보통신 기업과 글로벌 지식재산 분쟁을 벌이고 있다. 삼성과 벌이는 지식재산 소송은 ‘디자인’이라는 판단하기 쉬운 쟁점으로 단기간에 판매금지 가처분을 이끌어 내는 등 치밀하게 준비된 소송전략을 구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 기업이 애플을 넘어서려면 CEO가 지식재산 부문을 챙겨야 할 것이다. 분쟁 발생 후 대응에 분주한 경영자가 아니라 사전에 지식재산 경영전략을 수립, 지휘하는 경영자가 되어야 한다. 대기업이라면 지식재산을 담당하는 임원도 필요하다. 경영자의 참여와 관심 없이 지식재산 경영이 성공하기는 요원하다. 융합적 지식재산권 포트폴리오 구성을 조언하고 싶다. 지금은 융합과 통섭의 시대이다. 지식재산권 분야도 마찬가지다. 특허·상표·디자인권이 융합적으로 활용되었을 때 상품의 가치와 경쟁력이 높아지며, 유기적으로 연계된 일군의 특허권이 없으면 충분히 보호받기 어렵다. 다른 분야의 지재권을 통합적으로 활용하는 전략, 핵심기술에 대해 회피하기 어려운 강력한 특허포트폴리오를 구성해 경영에 활용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지식재산 선수를 키워야 한다. 전문지식의 바탕 위에 창의력으로 새로운 것을 더하고 지식재산의 관점에서 이를 강한 권리로 만들어 활용할 줄 아는 융합형 인재를 양성, 활용해야 한다. 지식경제시대의 주역은 지식재산형 인재라 할 것이다. 건곤일척의 승부가 벌어지는 글로벌 지식재산 전쟁에서 승리는 지식재산권으로 무장한 전사의 활약 없이는 기대하기 어렵다.

우리나라 기업도 지식재산권 및 지식재산 인재의 역할과 중요성에 대해서 잘 인식하고, 그에 걸맞은 투자를 해야 할 것이다. 우리 기업이 세계적인 혁신기업으로 성공하는 데 꼭 필요한 조건 중 하나가 아닐까 한다.

2011-11-30 30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