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여기] 독일의 여성 국방장관/이민영 국제부 기자

[지금&여기] 독일의 여성 국방장관/이민영 국제부 기자

입력 2014-02-08 00:00
업데이트 2014-02-0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해 말 독일에선 여성 국방장관이 탄생했다. 앙겔라 메르켈 총리가 3번 연속 당선될 정도로 양성 평등이 정착된 독일에서도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장관의 등장은 놀라움 그 자체였다. 의사 출신인 그녀는 7자녀의 엄마다. 독일에만 여성 국방장관이 있는 것은 아니다. 최근 뮌헨안보회의에 참석한 독일, 노르웨이, 스웨덴, 네덜란드의 여성 국방장관 4명이 함께 찍은 사진이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이미지 확대
이민영 사회부 기자
이민영 사회부 기자
이네 에릭센 쇠르에이데 노르웨이 장관, 카린 엔스트룀 스웨덴 장관, 예니네 헤니스 플라샤르트 네덜란드 장관은 각기 다른 경력을 갖고 있지만 ‘금녀’(禁女)의 영역이었던 국방장관에 올랐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쇠르에이데 장관은 지난해 7월 한국을 방문, “여성으로서 국방장관직을 수행하는 데 별다른 어려움이 없다”고 말했다. 또한 “여성은 남성이 하는 일을 똑같이 할 수 있다. 노르웨이에서는 여성과 남성에게 똑같은 기회, 가능성, 책임을 주려 한다”고 말했다.

플라샤르트는 현지 언론과 인터뷰에서 “올드보이들이 독점하고 있던 유럽 정치가 변화하고 있다. 여성도 남성과 똑같이 일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엔스트룀 장관은 4명 중 유일하게 군 경력을 갖고 있다. 가장 큰 이슈는 역시 독일이다. 폰데어라이엔 장관은 독일군을 분쟁지역으로 파병하는 데 적극적인 의지를 나타내고 있다.

한국은 어떨까. 사관학교를 나온 남녀 장교들과 대화를 하다 ‘자식에게 직업군인을 추천하겠느냐’는 질문이 나왔다. 그들은 입을 모아 “아들이면 몰라도 딸은 절대 군인을 시키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여성이 군대에서 성공하기 어렵기 때문이냐”고 묻자 “성공은커녕 살아남기도 어렵다”는 답이 돌아왔다. 한국은 2010년 송명순 육군 준장이 전투병과에서는 처음으로 여성 장군에 올랐다. 지난해에는 임신 7개월이던 여성 중위가 과로로 인한 뇌출혈로 사망하는 등 한국 군대에서 여성이 처한 현실은 열악하다.

비단 국방분야뿐만 아니다. 여성 대통령 시대가 도래했더라도, 일반 여성들이 느끼는 처우는 전과 다르지 않다. 유럽의 여성 국방장관들은 “여성도 남성과 똑같이 일할 수 있고 일하는 데 아무 문제가 없다”고 말하고 있다. 한국 여성들이 바라는 것도 ‘남성과 똑같이 일하는 것’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min@seoul.co.kr
2014-02-08 26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