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민주·진보 야권연대, 정책은 어쩔건가

[사설] 민주·진보 야권연대, 정책은 어쩔건가

입력 2012-03-12 00:00
업데이트 2012-03-12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4·11 총선을 한달 앞두고 그제 새벽 민주통합당과 통합진보당이 야권연대 협상을 타결했다. 민주당 후보로 단일화될 전략지역은 67곳, 진보당 후보로 단일화될 전략지역은 16곳, 양당 후보자 간 경선지역은 76곳으로 확정했다. 민주당 한명숙 대표와 진보당 이정희 공동대표는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된 합의문에 서명했다. 양당 대표가 합의문에 서명하기 하루 전만 해도 양측은 협상 타결이 늦어지고 있는 이유를 상대방에게 떠넘기는 등 막판까지 날카로운 신경전을 벌였다.

민주당은 고(故) 김근태 고문의 부인인 인재근씨가 전략공천된 서울 도봉갑도 경선지역에 포함시키는 등 당초보다 많은 양보를 했다. 경선 지역구 숫자도 민주당은 30여곳, 진보당은 90~100곳을 주장했지만 76곳으로 정리하는 등 협상 결과만을 놓고 보면 제1 야당인 민주당이 진보당에 적잖이 양보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진보당은 3~4%의 확고한 지지층을 갖고 있다. 진보당의 후보가 같이 출마하면 민주당 후보의 표를 깎아 먹을 수 있다. 따라서 민주당으로서는 진보당과의 후보단일화가 여당과 접전을 벌이고 있는 지역의 승리에 중요한 변수다.

정당의 최고 목적은 선거에서의 승리라는 점에서, 민주당의 선택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민주당과 진보당의 연대는 12월의 대선까지를 염두에 둔 것 같다. 하지만 문제는 정책에서 어떻게 할 것이냐는 것이다. 성향이 다른 민주당과 진보당은 정강과 정책도 다를 수밖에 없지만, 벌써부터 민주당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과 제주 해군기지 등 주요 현안에서 진보당의 눈치를 보며 끌려다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미 FTA ‘재재협상’을 내세웠던 민주당은 최근 ‘폐기’를 주장하는 진보당과의 의견 조율을 통해 ‘전면 재검토’로 바꿨다.

한명숙 대표는 2007년 노무현 정부 시절 제주 해군기지 공사가 결정될 때 총리였지만, 이번에 이정희 공동대표와 함께 제주에서 반대 시위에 합류했다. 민주당은 2010년 지방선거를 계기로 야권 후보단일화를 추진하면서 진보당의 노선에 동조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총선을 앞두고 진보당은 재벌 해체, 군 복무 12개월로 단축, 각종 복지 확대 공약 등을 내놓고 있다. 민주당과 진보당은 정책을 연대할 부분과 그러지 않을 부분에 대해 확실한 입장을 밝힌 뒤 유권자의 선택을 받아야 한다.

2012-03-12 3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