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때의 사회면] 변두리 극장에서 있었던 일

[그때의 사회면] 변두리 극장에서 있었던 일

손성진 기자
입력 2019-09-08 17:20
업데이트 2019-09-09 00: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혼잡하고 문란했던 변두리 극장의 실태를 보도한 기사(경향신문 1965년 2월 11일자).
혼잡하고 문란했던 변두리 극장의 실태를 보도한 기사(경향신문 1965년 2월 11일자).
“불결한 데다가 소년이나 관객이 마구 담배를 피우고 어둠 속에서 날치기, 소매치기, 폭력, 심지어는 음란행위까지 벌어진다니 가히 그 풍경은 목불인견인 것 같다.”(경향신문 1965년 2월 12일자) 별다른 오락거리가 없었을 때 변두리 극장은 청소년들의 해방구였고 범죄의 소굴이기도 했다. 명절 때면 극장 구경은 필수 코스였고, 고향에 가지 못한 사람들이 시간을 때우려고 찾던 곳이었다.

문제는 필름이 낡은 탓에 화질이 나쁘거나 위생 환경이 좋지 않은 것뿐만 아니었다. 우선 무료 입장이 너무 많았다. 각종 우대권과 초대권이 남발됐을 뿐만 아니라 단속원, 경찰, 군인, 상이군인, 세무서, 헌병, 특무대 등에서 무료 극장 출입증을 갖고 있었다. 평일은 40%, 일요일은 무려 60~70%가 무료 입장이었다고 한다(동아일보 1955년 11월 23일자).

명절 때 극장은 수많은 인파가 몰려 아수라장을 이루었다. 극장 앞에는 관객들이 몇 시간이나 장사진을 치며 기다렸다. 극장 측이 정원을 초과하는 입장권을 판 것도 원인이 됐다. 사람들이 몰리자 암표상이 들끓었고 정해진 요금을 몇십 %나 올려받는 극장도 허다했다. 당국은 지정좌석제를 시행하려 했지만, 좌석 부족으로 극장들은 따르지 않았고 극장 안은 입석 관객으로 꽉 들어찼다. 상영관 안은 물론 휴게실까지 관객들로 초만원이 돼 아우성을 쳤고 서로 밀치어 옷이 찢어지기도 했다.

이런 혼란과 어둠을 틈타 소매치기들이 설쳤으며 남자 관람객이 여자 관람객의 손을 잡거나 몸을 더듬는 추행 행위가 심심찮게 있었다. 변두리 극장들은 청소년 관람 불가인 영화임에도 중고생들을 거리낌 없이 입장시켰다. 중고생들을 입장시킨 극장에는 생활지도원들이 드나들었다. 극장들은 지도원들이 들이닥치면 그들의 입장을 막고 학생들을 뒷문으로 도피시키기도 했다.

극장 내부는 환기가 잘 안 돼 화장실에 들어갔던 학생이 사망하는 사건도 발생했고, 흡연은 아무 제지를 받지 않았다. 냉방기구가 없는 극장 안은 여름이면 한증막과 같이 더웠다. 이런 일도 있었다. 서울 S극장 측과 이권 다툼을 벌이다 앙심을 품은 두 사람이 영화 상영 중에 뱀 여섯 마리를 풀어 관람객들을 기겁하게 만들었다.

만원이 된 부산의 한 극장에서는 어린이가 상황을 잘못 알고 “불이야!”라고 소리치는 바람에 압사 사고가 일어나 1명이 죽고 20여명이 다쳤다. 변두리 극장 주변에서는 깡패들이 진을 치고 관람을 마치고 나오는 여성들을 희롱하는 등 밤중에는 우범지대였다(동아일보 1960년 6월 29일자).

손성진 논설고문 sonsj@seoul.co.kr
2019-09-09 30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