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때의 사회면] ‘동태 열차’와 ‘조개탄 열차’

[그때의 사회면] ‘동태 열차’와 ‘조개탄 열차’

손성진 기자
입력 2019-12-22 17:42
수정 2019-12-23 02: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연발착과 난방 불량 등 겨울 열차의 문제점을 지적한 기사(매일경제 1970년 1월 8일자).
연발착과 난방 불량 등 겨울 열차의 문제점을 지적한 기사(매일경제 1970년 1월 8일자).
1958년 1월 육군 입영 대상자(장정)들을 실은 임시 수송열차에 난방이 되지 않아 장정 90여명이 집단 동상에 걸리는 사고가 일어났다. 교통부 측은 동상을 입은 사람이 없다고 발뺌했지만, 장정들의 상태를 조사한 육군 당국은 8명이 1도 동상을 입었다고 발표했다.

1967년 12월 29일 밤. 서울발 여수행 야간열차를 탄 승객들은 깜깜한 객차 속에서 오들오들 떨었다. 갑자기 닥친 강추위 속에서 열차가 출발하자마자 스팀과 전기가 나가 버렸기 때문이다. 승객들은 짐 속에 있던 솜이불을 꺼내 덮고 촛불을 켜 어둠을 밝히기도 했다. 격분한 일부 승객은 승무원의 멱살을 잡고 폭력을 휘두르기도 해 겁을 먹은 승무원들은 이리저리 피해 다니며 검표도 하지 않았다.

게다가 밤 10시 30분에 서울역을 출발한 열차는 예정보다 4시간 가까이 늦은 다음날 오후 1시에야 여수역에 도착해 승객들은 무려 14시간 30분이나 냉동 열차에 갇혀 있었다. 삼등객차뿐 아니라 이등객차와 침대칸도 사정은 같았다(동아일보 1968년 1월 1일자).

열차 중에서도 삼등객차와 구간열차, 경북·충북선 등 지선열차가 난방이 되지 않아 승객들이 동태 신세를 면치 못했다. 난방장치가 있어도 기온이 영하 10도 이하로 내려가면 난방 파이프가 터지거나 객차와 객차 사이의 난방관이 얼어붙는 바람에 스팀이 나오지 않았다. 1966년 11월 21일에는 특급인 대전발 서울행 청룡호가 파이프 파열로 냉동열차가 됐다.

문제가 커지자 1961년 당국은 일부 객차에 조개탄 난로를 설치해 난방 문제를 해결하려 했다. 그런데 이 난로가 문제를 일으켰다. 이듬해 1월 경기도 여주에서 수원으로 가던 열차가 용인에서 탈선해 전복됐는데 난로가 뒤집히는 바람에 열차가 전소돼 승객 3명이 불에 타 죽은 것이다. 조개탄 대신 연탄 난로를 삼등객차 안에 설치하기도 했는데 열기가 약해 있으나 마나 했다. 객실 한 칸에 난로가 두 개 있었지만, 귀가 시리고 발을 동동 구를 정도로 열차 안은 추웠다(동아일보 1973년 12월 5일자).

최신 특급열차인 새마을호가 운행된 뒤에도 조개탄 열차는 달리고 있었다. ‘동태 열차’ 운행이 해결되지 않자 국회에서도 해결책을 따져 물었다. 또 대통령 연두 순시에서 “1세기 전과 같은 조개탄을 때는 열차가 있다는 것은 딱한 일”이라며 개선 지시가 내려질 만큼 동태 열차 문제는 큰 관심사였다(경향신문 1977년 1월 25일자). 그런데도 이듬해 기사를 보면 태백선과 정선선 등의 지선에는 여전히 자동차용 히터나 조개탄 난로를 설치해 난방을 했고 승객들의 추위를 완전히 녹여 주지 못했다.

손성진 논설고문 sonsj@seoul.co.kr
2019-12-23 30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