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경로석/서동철 논설위원

[길섶에서] 경로석/서동철 논설위원

입력 2013-06-10 00:00
업데이트 2013-06-1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버스를 타고 출퇴근한다. 경기도 파주 교하에서 서울 광화문을 오가는 광역급행버스다. 입석이 없는 버스니 굳이 노약자를 위한 자리를 별도로 지정할 필요가 없을 것 같다는 생각도 들지만, 어쨌든 4석의 경로석이 있다. 50대 중반에 접어든 나이로 처음에는 그 자리가 꺼려졌다. 지하철에서는 시비가 일어나는 장면을 목격하기도 했다. ‘진짜 어르신’에게는 송구스러운 일이 될 수도 있다.

하지만 언젠가부터 경로석에 떳떳이 앉는다. 출근 길 버스 안을 둘러보니 내 나이라면 ‘랭킹 3’에 얼마든지 들고도 남는다는 사실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다른 날의 풍경도 변함없었다. 아침 7시 안팎에 교하에서 광화문 가는 버스를 탄다면 대부분 직장인일 것이다. 우리 사회에서 50대 중반에 아침 저녁 출퇴근하며 월급받는 사람이 희귀한 존재라는 사실을 깨달은 것이다.

도대체 그 많은 50대의 한국인은 지금 어디서 무얼하고 있는 것일까. 30~40년은 더 살아야 할 사람들이다. 국회가 정년을 60세로 연장하는 법안을 통과시킨 이유를 출근 버스에서 짐작할 수 있었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3-06-10 30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