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서 혼쭐난 담배 개도국 어린이들이 ‘봉’

선진국서 혼쭐난 담배 개도국 어린이들이 ‘봉’

입력 2011-05-30 00:00
업데이트 2011-05-30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주요 회사 印尼 등 판매신장률 76%↑

과학자들이 흡연과 암의 상관관계를 밝혀낸 지 반세기가 지났지만 거대 담배회사들은 오히려 ‘제2의 전성기’를 누리고 있다. 서방국가 등 선진국의 흡연율이 줄어들자 개발도상국, 특히 이들 국가의 어린이들에게까지 공격적인 마케팅에 나서면서 수익이 오히려 급증했다고 인디펜던트지가 2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인도네시아에서는 2100만명의 어린이들이 담배를 피우는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세계 금연의 날’이 무색해지는 수치다.

대형 담배회사들의 판매수익은 1990년대 연간 평균 5조 달러(약 5415조원)였으나, 2009년에는 5조 9000억 달러(약 6390조원)로 늘었다. 글로벌 담배회사 ‘빅4’인 필립모리스 인터내셔널, 브리티시 아메리칸 토바코, 재팬 토바코, 임페리얼 토바코의 지난해 수익은 270억 달러(약 29조원)로, 전년(260억 달러) 수준을 훨씬 웃돌았다.

이는 서방국가에서 담배 흡연율이 급격히 줄어들었음에도 불구하고 부족해진 수익을 개발도상국에서 냈기 때문이다. 인디펜던트는 담배회사들이 선진국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담배 광고 규정이 까다롭지 않은 저개발국가의 젊고 새로운 소비자들을 공략하기 위해 공격적인 마케팅을 펴고 있다고 지적했다. 담배산업을 억누르려는 선진국 정부를 상대로 변호사, 로비단체, 고도로 선별된 전략을 동원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1990년 전 세계에서 서방국가가 차지하는 흡연 비중은 38%에 이르렀으나 20여년 뒤인 2009년 24%로 급감했다. 반면 담배 판매의 무게 중심은 저개발국가로 급격히 옮겨갔다. 2009년 개발도상국의 담배 판매 신장률은 전년보다 76% 증가했다. 나이지리아, 우크라이나, 브라질 등에서는 담배 회사가 청년층들을 신규 고객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나이트클럽, 파티 등을 후원하고 있다.

담배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소비자 담배가격은 고정시켜 놓고 인도, 말라위 등의 담배 재배업자들에게 지급하는 돈은 졸라매 농장 노동자들과 어린이들은 노예에 가까운 임금만 받으며 착취당하고 있다. 특히 담배 경매장은 산업계와 정부 간의 전장으로 돌변했다. 담배회사들이 구입하는 담뱃잎 가격은 2009년 4월만 해도 1㎏당 1.06파운드(약 1884원)였으나 올 들어서는 47페니(약 835원)로 급락했다.

정서린기자 rin@seoul.co.kr

2011-05-30 14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