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미트 구글 회장 “금주 방북한다” 확정

슈미트 구글 회장 “금주 방북한다” 확정

입력 2013-01-06 00:00
업데이트 2013-01-06 12: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외신 “美 ‘이번 방북’ 北에 잘못된 신호 우려”

에릭 슈미트 구글 회장과 빌 리처드슨 전 뉴멕시코 주지사의 방북 계획에 대해 미국 정부가 불편한 심기를 드러낸 것은 이번 방북이 북한은 물론 아시아 동맹국에 잘못된 신호를 줄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라고 크리스천사이언스모니터(CSM)와 AP통신 등이 6일 진단했다.

이미지 확대
에릭 슈밋 구글 회장
에릭 슈밋 구글 회장
북한을 압박해야 하는 현 시점에 이들의 방북이 김정은 북한 지도자의 사기를 오히려 올려주는 역효과를 낳을 수 있어 미 정부로서는 달갑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미국은 지난해 말 북한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위반하고 장거리 로켓을 발사한 이후 동맹국들과 대북 추가 제재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미사일 발사와 같은 행동은 결코 용납될 수 없다는 분위기를 전달하기 위해서다.

미 국무부가 이들의 방북 계획이 발표된 이후 “방북 시점이 전혀 도움되지 않는다”거나 “미국 정부의 메시지는 가져가지 않을 것”이라고 못박으며 사실상 불쾌감을 표시한 것은 그런 배경에서다.

미 정부는 고위급 인사의 방북이 아시아 동맹국을 혼란스럽게 할 수 있다는 우려도 한다고 외신은 전했다. 국무장관 교체를 앞둔 미국의 대북 정책이 변했다는 인상을 줄 수 있다는 게 근거다.

게다가 한국의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한미 양국이 향후 엄격한 대북 정책을 지속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되는 상황이다.

외신은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내달 취임 이후 북한에 대해 어느 정도 유화적 입장을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고 내다봤다.

미 정부의 이런 우려를 의식한 듯 리처드슨 전 주지사는 4일 CBS와 인터뷰에서 “개인적이고 인도주의적 차원의 방북”이라며 “그렇게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부적절한 시점이라는 평가에 대해서도 최근 북한의 걱정스러운 행동으로 볼 때 오히려 지금이 대화의 적기라고 덧붙였다.

그는 ‘북한의 핵확산’에 대해 자신도 우려하고 있다며 “지금과 같은 시점에 이들과 대화할 기회가 있다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하고 자신의 방북이 “북한을 올바른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하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정확한 방북 시점에 대해 리처드슨 전 주지사 측은 “이번 주로 정해졌다”고 밝혔다.

AFP통신 등에 따르면 리처드슨 전 주지사 사무실은 성명에서 “리처드슨 전 주지사가 10일 베이징 국제공항에서 기자회견을 열 예정”이라며 “방북 길에 기자단은 동행하지 않는다”고 전했다.

이번 방북에는 슈미트 회장, 리처드슨 전 주지사 외에 구글 싱크탱크인 ‘구글 아이디어’의 재러드 코헌 소장도 동행한다.

코헌 소장은 지난해 7월 로스앤젤레스에서 탈북자들을 초청한 가운데 “북한의 궁핍, 억압 실태를 전해듣는 콘퍼런스를 열기도 한 인물”이라고 AFP는 전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