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첫 인간배아복제 성공

사상 첫 인간배아복제 성공

입력 2013-05-16 00:00
업데이트 2013-05-16 02: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 연구팀이 17년 전 최초의 복제 양 돌리를 탄생시킨 것과 똑같은 체세포 핵 이식 방법으로 인간배아를 복제하는 데 사상 처음 성공했다고 AP 통신 등이 15일 보도했다.
미국 오리건 과학대학의 슈크라트 미탈리포프 박사의 연구팀이 17년 전 최초의 복제 양 돌리를 탄생시킨 것과 똑같은 체세포 핵 이식 방법으로 인간배아를 복제하는 데 사상 처음 성공했다고 AP 통신 등이 15일 보도했다.  연합뉴스
미국 오리건 과학대학의 슈크라트 미탈리포프 박사의 연구팀이 17년 전 최초의 복제 양 돌리를 탄생시킨 것과 똑같은 체세포 핵 이식 방법으로 인간배아를 복제하는 데 사상 처음 성공했다고 AP 통신 등이 15일 보도했다.
연합뉴스


이는 나중 허위로 밝혀졌지만 2004년 황우석 박사가 시도했던 바로 그 방법으로 인간 복제 가능성 논란에 다시 불을 지필 것으로 보인다.

오리건 과학대학의 슈크라트 미탈리포프 박사는 건강한 여성들로부터 채취한 난자의 핵을 제거하고 그 자리에 유전질환을 가진 아이 1명과 태아들에서 채취한 피부세포를 주입, 모두 6개의 복제배아를 만들어 내는 데 성공했다고 과학전문지 ‘셀’(Cell)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피부세포가 주입된 난자에 전기충격을 가해 정자와 난자가 만났을 때처럼 수정이 이루어져 세포분열을 하게 만들었다.

이를 150세포 단계인 배반포까지 키운 다음 배아줄기세포를 채취해 줄기세포주를 수립했다. 이 배아줄기세포주는 근육, 신경 등의 다른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것으로 확인됐다.

미탈리포프 박사는 이 복제배아가 질병 치료 이외의 목적에 사용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지만 이 복제배아를 대리모의 자궁에 이식하면 복제인간이 태어날 수 있기 때문에 인간복제 가능성 논란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연구팀은 원숭이 배아를 이용한 6년에 걸친 거듭된 연구를 통해 가장 효과적인 인간배아 복제 방법을 찾아낼 수 있었다.

미탈리포프 박사는 성공의 50%는 질이 우수한 난자를 얻는 것이고 나머지 50%는 세포핵을 제거한 난자에 체세포를 주입하는 타이밍이라고 밝혔다.

체세포 핵을 주입하기까지 난자의 발달을 제어하는 물질로 카페인이 사용된 것으로 알려졌다.

배아 복제의 성공으로 인간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한 질병 치료 연구가 다시 힘을 얻을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는 난자를 얻는 일이 쉽지 않고 배아줄기세포를 얻기 위한 배아 파괴의 윤리적 논란 때문에 배아줄기세포 연구가 주춤한 상태에서 2007년 일본 교토 대학의 야마나카 신야 박사가 개발한 유도만능줄기세포(iPS)를 중심으로 주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iPS는 피부세포 등 체세포에 4가지 특정 유전자를 주입, 배아줄기세포와 유사한 원시세포로 역분화시킨 것이다. 그러나 iPS가 과연 표준 만능세포인 배아줄기세포를 대신할 수 있는지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

이번에 성공한 복제배아줄기세포가 과연 iPS보다 성능이 우수할지도 현재로서는 알 수 없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