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방공식별구역, 센카쿠문제 日압박용”< CSM>

“中방공식별구역, 센카쿠문제 日압박용”< CSM>

입력 2013-11-26 00:00
업데이트 2013-11-26 16: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국 정부가 동중국해 상공에 ‘방공식별구역’을 설치했다고 전격 선포한 이유는 무엇보다 일본에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열도가 영토 분쟁 지역이라는 인식을 심어주기 위함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 크리스천사이언스모니터(CSM)는 25일(현지시간) ‘중국의 방공식별구역은 게임체인저(상황이나 정세를 바꾸는 계기)인가’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중국의 이번 조치는 양국 간 관계에 큰 피해를 줄 수 있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중국의 방공식별구역 선포에 주변국이 모두 반발하는 가운데 이제 중국이 공격적으로 공역을 방어할 것인지 또 중국이 이런 능력을 갖추고 있는지 의문이 든다고 밝혔다.

이에 미국 하와이 호놀룰루의 이스트웨스트센터 연구원인 데니 로이는 “이는 중국이 센카쿠 열도 문제를 심각하게 여기고 있으며 일본의 양보를 얻어낼 때까지 자신의 태도를 고수하겠다는 점을 상기시켜주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CSM에 따르면 그는 “중국은 일본이 센카쿠 열도를 영토 분쟁 지역으로 인식하길 원한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9월 일본이 센카쿠 열도를 국유화한 이후 중국은 독자적으로 영해기선을 선포하고 수시로 해양감시선과 어업관리선을 센카쿠 열도 영해에 들여보내 이 문제에 대한 자국의 견해를 공식화했다.

중국 정부의 생각과 달리 일본은 현재 센카쿠 열도를 영토 분쟁의 문제로 인식하려고 하지 않는다.

일본 정부 관계자들은 중국의 방공식별구역 선언을 센카쿠 열도를 포기하라는 압박으로 여기고 있으며 만약 이를 두려워하면 중국이 다른 문제를 압박할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로이 연구원은 중국이 일본에 대한 압박의 수위를 높이길 원한다면 센카쿠 열도 지역에 해양감시선이나 전투기를 더 많이 접근시킬 것이라면서 “이는 양국 간 영토 분쟁을 고조시키는 전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