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방공구역 설정은 미·일 첩보역량 견제 목적”

“中 방공구역 설정은 미·일 첩보역량 견제 목적”

입력 2013-11-29 00:00
업데이트 2013-11-29 13: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니혼게이자이신문 분석…”美무인기·日초계기에 ‘속살’ 안보여주려는 의도”

중국이 일본과의 갈등지역인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열도 상공을 포함하는 동중국해 일대에 방공식별구역을 설정한 배경에는 중국과 미국·일본 사이의 치열한 공중 첩보전이 자리잡고 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29일 분석했다.

동중국해를 자신들의 ‘내해(內海)화’ 함으로써 분쟁시 미국과 일본이 접근하지 못하게 한다는 장기적 목표 아래 우선 미국과 일본의 대 중국 첩보수집 역량을 견제하려는 것이 이번 조치에 담긴 중국의 속내라고 닛케이는 지적했다.

신문에 따르면 미국과 일본은 근래 동중국해에서 중국에 대한 감시를 강화해왔다. 자위대는 잠수함을 감시하는 대잠 초계기 P3C를 동중국해 상공에 자주 띄웠고, 장거리 레이더를 갖춘 조기경계기 E2C를 통한 상시 감시도 진행해왔다.

미국은 한술 더 떴다. 자위대의 감시활동은 일본이 주장하는 동중국해 일·중 중간선을 넘지 않았지만 미국은 종종 전자 정찰기 EP3와 무인정찰기 ‘글로벌 호크’를 중국 해안 근처까지 침투시켜 정보를 수집했다고 닛케이는 전했다. 특히 약 1만8천m 상공까지 비행가능한 글로벌 호크를 사용하면 중국 해안 근처에서도 내륙의 군사 시설 등을 정탐할 수 있다.

결국 중국이 동중국해 방공식별구역을 설정한 것은 센카쿠에 대한 일본의 실효지배를 흔드는 동시에 이 같은 미·일의 감시활동을 저지하려는 포석이라고 닛케이는 분석했다.

중국군의 일상적인 동향이 미·일의 감시망에 노출된다는 것은 결국 중국군 함선과 잠수함 등의 이동경로가 드러나는 것을 의미하기에 유사시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게 중국의 인식이라는 분석이다.

더불어 ‘왜 지금 설정했느냐’는 의문에 대해 닛케이는 공중급유기의 활동영역이 넓어지고 장시간 비행이 가능한 무인기 배치가 진행되고 있는 등 최근 중국 공군 역량이 강화된 것을 요인으로 들었다.

특히 일본도 무인기 도입을 모색하고 있는 상황에서 기선을 제압하려는 의도도 있을 것으로 닛케이는 추정했다.

한편 미국의 B-52 전략 폭격기가 지난 25일 사전통보없이 중국 방공구역에 진입했음에도 중국이 전투기 긴급발진(스크램블)을 하지 않은데서 보듯 당장은 방공구역을 유연하게 관리하더라도 공군력이 더 성장하면 사전통보없이 들어오는 외국 항공기에 대해 강경한 대응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신문은 전망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