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 티백도 끓이면 미세 플라스틱 나온다

종이 티백도 끓이면 미세 플라스틱 나온다

오달란 기자
오달란 기자
입력 2019-09-26 17:54
업데이트 2019-09-26 17: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캐나다 맥길대 연구팀 “티백 1개 끓였더니 미세 플라스틱 116억개 검출”

이미지 확대
종이로 된 티백도 끓이면 미세 플라스틱 조각이 나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25일(현지시간) 나탈리 투펜키 캐나다 맥길대 화학공학과 교수팀이 미국 화학학회(ACS)가 발행하는 월간지 ‘환경 과학과 기술’에 게재한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쉽게 찢어지지 않도록 플라스틱 성분을 섞어 만든 종이 티백으로 차를 끓일 경우 미세 플라스틱이 우러나올 수 있다.

ACS가 이날 온라인(www.eurekalert.org)에 올린 보도자료에 따르면 티백 한 개를 물에 넣고 끓이자 116억개의 마이크로 플라스틱 조각과 31억 개의 나노 플라스틱 조각이 배출됐다고 한다.

흔히 볼 수 있는 끈 달린 형태의 티백은 대부분 폴리프로필렌 코팅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종이 재질을 강화하기 위해서다.

연구팀은 티백에서 나온 미세 플라스틱 입자를 다양한 분량으로 나눠 물벼룩이 서식하는 물에 넣어 봤다. 그 결과 물벼룩이 죽지는 않았으나 해부학적 측면과 행동에서 일부 이상을 보였다고 연구팀은 전했다.

다만 미세 플라스틱 조각이 인간에게도 만성적인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려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플라스틱은 시간이 흐르면서 미세한 조각으로 부서진다. 보통 마이크로 플라스틱은 5mm 이하, 나노 플라스틱은 100㎚ 이하를 말한다.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