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ld 특파원 블로그] “정부폐쇄? 공짜 휴가죠, 뭐” 무덤덤

[World 특파원 블로그] “정부폐쇄? 공짜 휴가죠, 뭐” 무덤덤

입력 2013-10-04 00:00
업데이트 2013-10-04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美 공무원들의 심경은

연방정부 폐쇄(셧다운)로 졸지에 강제 무급휴가를 받은 미국 공무원 100만여명의 속내는 얼마나 착잡할까. 서울신문은 2일(현지시간) 전날부터 무급휴가에 들어간 워싱턴의 일부 연방 공무원들로부터 심경을 들어봤다. 그런데 그들이 익명을 전제로 털어놓은 답변 내용은 전혀 예상 밖이었다.

중앙 부처 공무원 A는 ‘심경이 어떠냐’는 질문에 대뜸 “공짜 휴가 얻어서 좋다”고 답했다. 어리둥절한 표정을 짓는 기자에게 그는 웃으면서 “과거에도 셧다운이 끝나면 의회가 무급휴가자에게도 임금을 소급해 지급하는 조치를 했다”면서 “그러니까 이 휴가는 내게 공짜로 생긴 시간”이라고 말했다. ‘어차피 이렇게 된 거 여행이나 가지 그러느냐’는 질문에 그는 “셧다운 기간이라도 긴급한 사안에 대해 일시적으로 업무 지시가 떨어질 수 있고, 셧다운 자체도 언제 갑자기 종료될지 모르기 때문에 워싱턴을 멀리 벗어날 수 없다”면서 “그동안 밀린 집안일을 하면서 쉬고 싶다”고 했다.

지난 3월 대규모 예산 자동 삭감(시퀘스터) 때는 무급휴가 대상이 아니었으나, 이번엔 무급휴가자로 지정된 중앙 부처 공무원 B 역시 무덤덤한 표정이었다. 그는 “주변에서 우울한 표정을 한 동료를 본 기억이 없다”면서 “셧다운을 별로 큰일로 생각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그래도 셧다운 기간이 한 달 이상 지속되면 당장 쓸 월급이 안 나와 곤란하지 않겠느냐’는 질문에 그는 “설마 그리 오래 가겠느냐”고 일축했다.

정부조달 도급업자(컨트랙터)로 일하고 있는 민간인 C도 업무 파트너인 정부부처가 문을 닫음에 따라 할 일이 없어졌고, 회사로부터 자동적으로 유급휴가를 받았다. 그는 “일단 연간 할당된 연차를 소진하는 방법으로 휴가를 보내고 있어 유급휴가에 해당한다”면서 “만에 하나 연차를 다 소진할 정도로 셧다운이 길어지더라도 급료를 못 받을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고 했다. 정쟁이 빚어낸 셧다운의 아우성 이면에서는 이렇듯 무책임한 시간과 돈이 줄줄 새어나가고 있다.

워싱턴 김상연 특파원 carlos@seoul.co.kr

2013-10-04 14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