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수한 깨달음에 바탕 둔 심층종교로 나가야 화합”

“순수한 깨달음에 바탕 둔 심층종교로 나가야 화합”

입력 2011-05-18 00:00
업데이트 2011-05-18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오강남·성해영 교수 사제간 대담집 출간

현대사회에서 종교는 흔히 과학과 합리주의의 맞은편에 놓인다. ‘종교의 위기’는 바로 그런 비과학과 불합리성을 겨냥한 종교 폄하의 말로 쓰인다. 나아가 종교야말로 인간 삶을 훼손하고 평화적 공존을 막는 원인으로까지 들춰진다. 그런가 하면 종교의 가치를 제대로 보고 따르자는 종교 예찬의 물결 또한 도도하다. 그 상반의 충돌을 화합의 공존으로 바꿀 길은 없는 것일까.

‘종교, 이제는 깨달음이다’(북성재 펴냄)는 그 해답을 ‘심층 종교’에서 얻을 수 있음을 보여준 책이다. 서울대 종교학과 사제지간의 대담집. 베스트셀러 ‘예수는 없다’로 유명한 비교종교학자 오강남 캐나다 리자이나대 명예교수와 성해영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교수가 화자다. 두 사람의 공통분모는 이른바 신비주의라 불리는 심층종교. 그 신비주의는 세간의 비밀주의나 마술·주술·부흥회의 열광적 흥분과는 동떨어진, 철저하게 순수한 ‘깨달음’의 체험에 바탕을 둔 종교를 겨눈다.

‘한국종교가 왜 이러나’라는 도발적 물음으로 시작한 책에서 두 사람은 지금 한국 종교의 위기를 심층이 아닌, 표층의 믿음에 매몰된 탓으로 돌린다. 달을 보지 못한 채 그저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에 대한 천착. 그것은 흔히 기독교에서 근본주의로 대변되는 문자(성경) 자체에 대한 맹신이요, 모든 행복은 의심 없는 독실한 믿음 끝에 온다는 과도한 기복주의의 표상이다.

그 거죽만의 종교를 심층으로 확대해 나갈 때 도덕은 완성될 수 있고, 도덕이 완성될 때 종교도 완성될 수 있다고 두 사람은 말한다. “나만 잘되는 게 아니라, 나와 신이 하나이고 모든 것이 하나임을 깨달을 때 서로 통하고 갈등도 사라진다.”(오강남 교수) “서로 다르되 다른 것들이 조화를 이루며 공존하는 화이부동을 생각할 때 자신의 종교를 특색있게 만들면서 남의 종교도 배울 수 있다.”(성해영 교수)

그 심층의 종교는 과학적, 세속적인 세계관에 대한 반대에만 머물지 않는, 인간성의 근본 성찰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말하는 두 사람. 지금의 현실적인 나가 아닌 참나, 얼나가 궁극적으로 내 안의 신성이요 불성, 인성임을 깨달아야 하며 그 깨달음은 바로 체험을 통해 이루어야 한다고 거듭 강조한다. “한순간에 대오각성하는 큰 깨달음도 있지만 일상적인 삶의 과정에서 겪는 작은 깨달음도 매우 소중하다.”는 일갈. 결국 뼈를 깎는 자기 변혁과 쇄신을 통한 깨달음이야말로 심층의 종교, 통합과 공존의 세계로 들 수 있는 열쇠라는 말이 아닐까.

김성호 편집위원 kimus@seoul.co.kr

2011-05-18 22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