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라진 시대 배경 속상하냐고요? 난 원작자일 뿐… 참견할 순 없죠”

“달라진 시대 배경 속상하냐고요? 난 원작자일 뿐… 참견할 순 없죠”

입력 2011-05-24 00:00
업데이트 2011-05-24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만화 최초 할리우드서 영화화 ‘프리스트’… 원작자 형민우 인터뷰

어릴 때부터 만화라면 사족을 못 썼다. 미국에 살던 고모가 한국에 들어올 때마다 선물로 한 권씩 갖다 준 마블 사(社)의 ‘코난’은 꼬마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책 표지가 해질 때까지 보고 또 봤다. ‘코난’은 야만족의 전투와 모험, 사랑을 다룬 ‘19금(禁)’ 만화였지만, 어른들의 무신경 덕(?)에 소년은 일찌감치 눈을 떴다. 20여년이 흐르고서 그의 만화를 원작으로 6000만 달러짜리 영화가 만들어졌다. 한국만화로는 처음 할리우드에서 영화화된 SF액션 영화 ‘프리스트’(Priest·새달 9일 개봉)의 작가 형민우(38)가 주인공이다. 그의 대표작 ‘프리스트’는 1999년부터 2003년까지 모두 16권이 출간됐다. 국내에서 50만부를 비롯해 전세계 33개국에서 100만부가 팔렸다. ‘웨스턴 호러’라는 독특한 장르와 무국적 이야기는 물론, 그만의 독특한 그림이 어필했다.

이미지 확대
‘프리스트’는 일반영상(2D)과 입체영상(3D) 두 가지 버전으로 개봉된다. 원작자 형민우는 “아날로그적인 사람이라 3D에 대한 막연한 호감 따윈 없었다.”면서 “막상 3D 화면에서 내 이름이 튀어나오는 걸 보니 어쩔 줄 모르겠더라.”며 쑥스럽게 웃었다. 안주영기자 jya@seoul.co.kr
‘프리스트’는 일반영상(2D)과 입체영상(3D) 두 가지 버전으로 개봉된다. 원작자 형민우는 “아날로그적인 사람이라 3D에 대한 막연한 호감 따윈 없었다.”면서 “막상 3D 화면에서 내 이름이 튀어나오는 걸 보니 어쩔 줄 모르겠더라.”며 쑥스럽게 웃었다.
안주영기자 jya@seoul.co.kr
영화는 지난 13일(현지시간) 북미에서 개봉해 2368만 달러의 수익을 올렸다. 제작비의 3분의1은 거둬들였으니 무난한 출발인 셈. 23일 서울 왕십리CGV에서 형민우 작가를 만났다. 1200㏄짜리 할리데이비슨 오토바이와 깔끔하게 민 머리, 양팔의 거대한 문신-오른팔에는 ‘정의’(JUSTICE), 왼팔에는 십자가와 ‘자비’(MERCY)가 새겨져 있다-은 ‘프리스트’의 묵시록적인 이미지와 곧잘 어울렸다. 하지만 막상 대화를 나눠 보니 수줍음을 많이 타면서도 엉뚱한 구석이 많은 사내였다. “요즘 만세를 부르고 다녀도 시원치 않을 판인데 (욕먹을까 봐) 표정관리를 하고 있다.”고 했다.

→영화자막에 본인의 이름이 뜨는 걸 본 기분이 어떤가.

-꿈만 같다. 할리우드에서 열린 입체영상(3D) 시연회에서는 3D안경을 닦는 새 내 이름이 입체로 튀어나와 버렸다(웃음). 처음에는 꿈만 같았고 비현실적인 느낌이었는데 개봉이 다가오니 부담도 된다. 내가 (한국만화로 만들어진 할리우드 영화의) 첫 타자니까 잘돼야 한다는 생각뿐이다.

→처음 할리우드 제안을 받은 게 2003년이다. 우여곡절이 많았던 것 같은데.

-미국에서 ‘프리스트’를 출판한 ‘도쿄팝’이란 곳에서 처음부터 영화화를 염두에 뒀다. 2~3년 안에 영화화를 추진할 테니 다른 곳에 판권을 팔지 말라고 하더라. 흔쾌히 수락했지만, 마음을 비우고 있었다. 제작사에서도 무명작가 원작이라 이것저것 따지고, 감독과 배우도 몇 번씩 바뀌고 했던 것 같다.

→시대 배경이나 주인공이 복수하는 대상 등 많은 부분이 바뀌었다. 원작자로서 기분이 안 좋을 수도 있을 텐데.

-원작은 고전적인 느낌이라면 영화는 현대적인 SF물이다. 지인들도 ‘기분 나쁘지 않으냐.’고 묻는다. 그러면 ‘너라면 할리우드에서 네 만화를 영화로 만드는데 기분이 좋겠냐, 나쁘겠냐.’고 되묻는다(웃음). 내가 감독이거나, 권한을 줬다면 치열하게 싸워서 원작을 100% 담으려고 했겠지만 나는 원작자일 뿐이다. 감 놓아라 배 놓으라 하고 싶지도 않았고 그럴 상황도 아니었다.

이미지 확대
→전공을 하거나 견습생을 거치지도 않았다. 어떻게 만화가가 된 것인가.

-전업작가가 될 거라고는 꿈도 못 꿨다. 1996년 만화잡지의 신인공모전에 입상하기 전까지 내 인생의 암흑기였다. 골방에 틀어박혀 2~3년동안 그림만 그렸다. 폼 나게 살고 싶었기 때문에 만화는 안 하겠다고 생각하면서도 이율배반적으로 습작은 했다. 마치 ‘엄마처럼 무당 안 될래.’ 하면서도 자신도 모르게 무당이 된 소녀 같다. 어릴 때부터 미국만화에 빠졌다. 대사는 이해를 못 하니까 그림과 연출법만 집중적으로 봤다. 덕분인지 지금도 몇십 쪽은 대사 없이도 연출할 수 있는 능력은 갖추고 있다고 자부한다.

→‘프리스트’는 어떻게 구상하게 됐나.

-화실에 다니거나 따로 만화를 배운 적도 없어서 처음에는 기술적으로 고생을 했다. 초기 작품인 ‘태왕북벌기’를 보면 거칠고 (일본 만화를) 베낀 티도 난다. 그렇게 몇 년간 우왕좌왕하다가 처음 제대로 그린 작품이 ‘프리스트’다. ‘프리스트’는 내가 가진 문화적 자양분을 집대성한 작품이다. 잔인하게 비판한다면 ‘할리우드 키드 같다.’고 할지도 모르지만 B급 영화·소설들, 언더그라운드 문화에 대한 오마주를 담았다.

→원작은 16권을 끝으로 중단됐다. 미완으로 남길 것인가.

-일부에선 ‘(영화판권도 팔리고 나니) 배가 불러서 안 한다’라고도 하지만 말도 안 된다. 작품을 위해서 과감하고 쿨하게 그만뒀다. 당시 너무 지쳤다. 감정 몰입이 안 된 상태에서 억지로 눈물 짜는 연기를 하는 것처럼 될 수도 있었다. 흐지부지 끝낼 생각은 없다. 언젠가 다시 이어갈 것이다.

→최근 만화 원작의 영화가 국내에서 꾸준히 늘고 있다. 한국만화의 영화 콘텐츠로서 경쟁력은.

-외국 관계자들을 만나 보면 한국만화에 대한 관심이 대단하다. 일본만화가 매운맛을 흉내 내는 소스를 잘 만든다면, 한국만화는 (일본 만화를 따라하는 것에서 출발했지만) 날것의 매운맛을 낸다는 점에서 다르다. 할리우드가 소재의 빈곤에 시달려 관심을 두는 게 아니라 한국의 만화 콘텐츠 자체가 경쟁력이 있다는 얘기다.

→한국만화계가 어렵다는 얘기를 많이 한다.

-가장 큰 문제는 신진세력들이 커 나가지 못한다는 점이다. 예비작가들이 게임 쪽으로 많이 유출되고 있다. 웹툰으로 새 시장이 열린 건 사실이지만 즉각적인 댓글과 그에 따라 반응하는 등 소모적인 로테이션이 이뤄지면서 작가들이 대접을 못 받고 있다.

→인덕대(만화영상애니메이션과)에서 강의하던데.

-강의는 2년쯤 됐다. 학교에서는 기술적인 부분을 가르치길 원하는데 나는 다른 얘기들을 많이 한다. 중요한 건 이미지나 심상을 어떻게 드러내느냐인 것 같다. 그런 것들을 강조한다.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2011-05-24 20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