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려함 뒤 연예인 95% 가난과 싸운다

화려함 뒤 연예인 95% 가난과 싸운다

입력 2011-05-24 00:00
업데이트 2011-05-2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드라마 ‘최고의 사랑’ 구애정 인기로 짚어본 생계형 연예인 실태

요즘 인기 드라마인 MBC ‘최고의 사랑’에는 생계형 연예인 구애정(공효진 분)이 등장한다. 한때 잘 나가는 걸 그룹 멤버였으나 비호감 연예인으로 전락한 그는 방송 활동과 업소 행사로 근근이 살아간다. 화려해 보이는 연예인. 하지만 그 이면에는 구애정처럼 가난과 싸우는 생계형 연예인들이 적잖이 존재한다.

이미지 확대
MBC 드라마 ‘최고의 사랑’에서 생계형 연예인 구애정 역을 맡은 배우 공효진. 한때 국보급 인기를 누리던 걸 그룹 ‘국보소녀’ 출신이지만 지금은 밤업소 출연 등으로 근근이 생계를 이어 가는 역할이다. MBC 제공
MBC 드라마 ‘최고의 사랑’에서 생계형 연예인 구애정 역을 맡은 배우 공효진. 한때 국보급 인기를 누리던 걸 그룹 ‘국보소녀’ 출신이지만 지금은 밤업소 출연 등으로 근근이 생계를 이어 가는 역할이다.
MBC 제공
가수 임재범(48). 요즘 월요일 아침마다 인터넷 검색어 1위에 오르는 연예인이다. 일요일 저녁 서바이벌 프로그램 ‘나는 가수다’에 출연한 덕분이다. 아이돌 부럽지 않은 인기를 누리고 있는 임재범이지만 그에게도 힘든 시절이 있었다. “한때 저작권료로만 생활했다. 차도 없어 딸과 어린이대공원에 갈 때 버스를 이용했고, 물건도 마음껏 사지 못했다. 한달 수입이 100만~200만원이었다.”

지난 8일 방송분에서 그가 눈시울을 붉히며 털어놓은 고백이다. 자료화면은 그가 솜이 삐져나온 헤드폰을 목에 걸고 있는 모습을 보여 주었다. 눈 밝은 네티즌들은 “지금은 아예 단종돼 나오지 않는 (헤드폰) 모델”이라며 임재범에게 ‘진정한 생계형 가수’라는 수식어를 붙여 주었다. 그가 지난 22일 방송분에서 선배 가수 윤복희의 ‘여러분’을 절절하게 표현, 종합순위 1위를 차지한 것도 이렇듯 ‘눈물 젖은 과거’가 있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국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업종별로 처음 통계가 잡힌 ‘2008년 거주자 사업소득 원천징수 신고현황’에서 소득을 신고한 영화배우·탤런트는 2만 580명, 가수는 6535명으로 집계됐다. 대형 연예기획사에 소속됐거나 아예 소득이 없는 연예인은 제외됐다. 배우·탤런트의 경우 1인당 연평균 소득세 신고액은 57만원, 가수는 29만원이었다. 연예활동을 통해서든 연예활동과 무관한 부업을 통해서든 조금이라도 소득이 있다고 신고한 연예인이 약 2만 7000명이라는 의미다. 국내 연예인 숫자를 보여 주는 정확한 통계는 없지만 한국연예인협회 등은 10만명으로 추산한다. 스크린과 브라운관을 종횡무진하는 거액 몸값의 스타급 연예인을 제외하더라도 전체 연예인 가운데 수입이 있는 사람은 30%도 안된다는 얘기다. 수입이 있는 경우도 들쭉날쭉하다.

그룹 캔 출신의 가수 배기성(39)은 이달 초 SBS ‘밤이면 밤마다’에 출연해 “3000만원짜리 마이너스 통장이 20만원밖에 남지 않아 더는 빚을 낼 수도 없었다. 내 생애 봄날을 외쳤건만 남은 건 단돈 20만원뿐이었다. 마치 세상이 나를 (세상 밖으로) 몰아내는 것 같았다.”고 털어놓기도 했다.

대중문화평론가 정덕현씨는 “연예인이란 직업은 근본적으로 인기에 크게 좌우되기 때문에 수입이 불안정할 수밖에 없다.”면서 “잘나가는 연예인은 극히 일부분이고 대부분이 생계형인 게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가요계가 이런 현상이 가장 심하다고 덧붙였다. 예전처럼 음반 수익이 뚜렷하지 않은 데다 시장 자체도 침체된 상황에서 음원 판매 수익이 유통사로 흘러가는 구조이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김정은기자 kimje@seoul.co.kr
2011-05-24 2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