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병 최정예 고공침투팀의 지옥훈련

해병 최정예 고공침투팀의 지옥훈련

입력 2011-11-08 00:00
업데이트 2011-11-08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9일 밤 EBS 극한직업

최강의 전투력을 가진 해병대의 정예요원 아홉 명이 한자리에 모였다. 해병대 고공침투팀 ‘샤크’다. 이들은 서로 다른 부대에서 근무 중이지만 고공침투 훈련을 위해 포항으로 집결했다. 이번 훈련의 목표는 산소가 희박한 지역에서의 완전 무장 강하다. 해병대를 대표하는 고공침투 팀에도 긴장되는 최고 난도의 훈련이다. 9일 밤 10시 40분에 방송되는 EBS ‘극한직업’에서는 해병대 ‘샤크’ 팀과 훈련 일정을 함께하며 군인정신 속에 담긴 직업의식과 소명의식을 들어본다.

이미지 확대




바닥에 엎드려 몇 십 분째 땀을 흘리는 사내들. 빨간 명찰의 해병대원 ‘샤크’팀이다. 대원들이 하는 작업은 낙하산 포장. 한 번의 손길에 온 정신을 집중하지만, 조금의 이상 징후라도 발견되면 작업은 처음부터 다시 시작한다. 목숨을 맡겨야 하는 장비이기에 낙하산을 다루는 이들의 표정은 비장하기까지 하다.

위험을 무릅쓴 훈련에서 모의훈련은 필수다. 해병대는 고공훈련을 하는 대원들을 위해 전군 최초로 ‘고공낙하 시뮬레이터’를 설치했다. 실전을 방불케 하는 정밀한 장비 덕분에 가상 낙하 작전만으로도 긴장감이 흐른다. 실전보다 높은 고도와 강한 풍속은 위협적이지만, 가상훈련 정도는 이겨내야 하늘로 오를 자격을 준다.

평균 400회 이상의 강하 경력을 가진 베테랑 대원들도 오랜만의 강하에 긴장되기는 마찬가지다. 다소 바람이 부는 날씨는 대원들을 더욱 움츠러들게 하지만, 닷새 내내 이어지는 강도 높은 훈련을 이겨내려면 첫 단추가 중요하다. 궂은 바람을 뚫고 수직 낙하를 감행하는 샤크 대원들. 하지만 비로 인한 진흙 때문에 예상치 못한 변수가 발생한다.

직업군인 신분은 잦은 훈련 때문에 항시 위험에 노출돼 있다. 샤크팀의 일원 김정섭 대원은 해병대의 자랑스러운 최정예 요원이지만, 집에서 기다리는 아내는 항상 불안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위험한 훈련을 떠나는 대원도, 그의 아내도 특별한 인사는 하지 않는다. 혹시라도 배우자가 긴장할까 하는 마음 때문이다.

최고 난도의 강하를 앞둔 샤크팀이 산악 훈련에 나섰다. 고공 강하는 완벽한 기술이 요구되기에 강인한 체력이 필수다. 다음 날 훈련은 산소가 희박한 지역에서 이뤄지는 초고도 작전이다. 첩첩산중의 훈련이지만 대원의 표정에서 결연함이 감돈다. 적군의 감시망을 우회할 수 있는 초고도 1만 2000ft(약 3700m). 은밀한 침투를 위해서 올라간 그곳은 호흡조차 곤란한 지역이다. 실전 같은 훈련을 위해서 30㎏의 작전 병기까지 장착한 상태로 강하를 감행해야 한다. 산소마스크 너머로 전우의 눈빛을 확인한 샤크 대원은 비장한 거수경례를 마치고 마지막 강하를 시도한다.

이은주기자 erin@seoul.co.kr
2011-11-08 23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