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렸다 뭉개버린 마오쩌둥 초상

그렸다 뭉개버린 마오쩌둥 초상

입력 2011-11-19 00:00
업데이트 2011-11-1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中 차세대 작가 인자오양의 ‘매니악’

“저 스스로가 요즘 아주 ‘매니악’한 상태입니다. 컨디션도 최고고요. 이제 예술적 생명에 있어서 새로운 시작입니다.”
이미지 확대
인자오양 ‘매니악 - 표준 초상’
인자오양 ‘매니악 - 표준 초상’


중국 현대미술계의 차세대 작가로 꼽히는 인자오양(41)의 얘기다. 그는 한국에서 여는 첫 개인전에 ‘매니악’(Maniac·광) 시리즈를 처음 공개했다. 무뚝뚝한 말투 속에서 자신감이 묻어 나왔다.

‘매니악하다’는 게 무슨 뜻이냐는 질문에 “하루에 비유하자면 오후일 때, 1년에 비유하자면 여름일 때”라고 답했다. “매 순간 뭘 하든지 간에 뒤돌아보지 않을 수 있는 상태, 후회 없이 저지를 수 있는 상태”라고 덧붙였다. 한마디로 절정기라는 답이다.

그럴 만도 한 것이 10여년 전만 해도 아트페어에 어떻게든 참가하고 싶어서 주변에 이래저래 돈 빌리고 직접 자전거까지 몰며 작품을 날랐건만 단 한 작품도 못 팔던 시절이 있었다.

지금은 상황이 다르다. ‘천안문’ ‘광장’ ‘정면’ 시리즈가 경매시장에서 수십억원에 거래되기 시작하면서 경제적 부담에서는 완전히 벗어났다. 우리나라 저축은행 사태 때도 그의 작품이 거론됐다. 10월 타이완전, 이번 한국전에 이어 다음 달에는 스페인 등 전시 일정도 줄줄이 잡혀 있다.

그가 휴대전화에 담아 놓은 사진을 슬쩍 보여주었다. 베이징 인근 쑹좡에 마련한 거대한 작업실이다. 고향인 허난성에는 그의 이름을 딴 개인 미술관도 짓고 있다. 정오 같다, 여름날 같다고 할 만도 했다.

이번에 공개한 ‘매니악’ 시리즈는 인물 초상을 그린 뒤 뭉개버린 작품이다. 주변 친구, 지인들을 그린 뒤 뭉갠다. 초기작에서 최근작으로 갈수록 뭉개는 강도는 더해진다. 처음엔 원만 슬슬 돌렸다면 이제는 말 그대로 아주 짓뭉개버린다.

언뜻 프랜시스 베이컨(1909~1992)의 작품들이 연상된다. “글쎄요. 베이컨 그림에선 피카소가 보이지 않던가요. 후세대에 이전 세대의 영향이 들어가 있어 보이는 것은 당연한 듯싶습니다.”

무얼 표현해보고 싶었던 것일까. “자아를 잃어버린, 내면에 숱한 상처를 안고 사는 현대인의 모습”이라는 답이 돌아온다. 절정기에 오른 모습이란 그런 모습이 아닐까라는 반문이다. 이전 대표작이랄 수 있는 ‘천안문’ ‘광장’ 시리즈도 함께 볼 수 있다. 12월 18일까지. 서울 서초동 더페이지갤러리. (02)3447-0048.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1-11-19 17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