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 선조 아이디어였다

동의보감, 선조 아이디어였다

입력 2011-11-23 00:00
업데이트 2011-11-23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편찬 기획·세부 기준 다 관여해 신동원 카이스트 교수 23일 발표

‘어느 날 천재의 머릿속에 불쑥 솟아오른 영감’

신문, 책, 드라마, 영화 등 다양한 상업적 대중매체를 통해 끊임없이 강화되어온, 정형화된 틀(스테레오 타입)이다. 한국학중앙연구원 현대한국연구소가 이 스테레오 타입을 비판하는 흥미로운 학술대회를 연다. 23일 오전 10시 서울 남대문로 대한상공회의소에서다. 주제는 ‘에포컬 모멘텀(Epochal Momentum) : 한국 과학발전사의 우수 사례들을 통해 배우는 과학문화발전의 방향’.

가장 눈길을 끄는 발표는 신동원 카이스트 인문사회과학부 교수의 ‘동의보감의 협력자들’이다. 제목에서 드러나듯 신 교수는 동의보감을 쓴 허준보다 조력자들에게 집중한다. 물론 동의보감이 허준의 높은 성취임을 부정하진 않는다. 임진왜란과 유배 상황에서도 17년을 들여 완성한 걸작이라고 인정한다.

●“허준 단독 플레이 결코 아니었다”

하지만 질문도 던진다. 조선 후기에 동의보감이 있었다면 조선 전기에는 ‘향약집성방’과 ‘의방유취’가 있었다. 향약집성방은 유효통 등 집현전 학자들이 쓴 의약서이고, 의방유취는 유성준 등이 그 뒤를 이어받아 완성한 의학사전이다. 그런데 두 책을 거론할 때 반드시 빠지지 않는 인물이 있다. 집필을 ‘지시’한 세종이다.

향약집성방 등은 세종의 공이 부각되는데, 동의보감은 왜 허준만의 공이냐는 게 신 교수의 문제 제기 출발점이다. “한쪽에선 총명한 왕의 결정이 부각되고, 다른 쪽에선 왕이 허준의 들러리에 불과”하다는 얘기다. 이는 “세종과 허준의 ‘위인전’ 안에 다른 인물이 끼어들기 힘들기 때문”에 일어난 현상이라는 게 신 교수의 진단이다.

이런 관점에서 신 교수는 선조의 역할에 주목한다. 일단 동의보감 편찬 자체가 선조의 명에 의해 이뤄졌다. 당시 전쟁(임진왜란)으로 다친 백성들이 무척 많았던 데다, 민심 이반이 심각한 상황이었다. 병약했던 선조의 개인적 특성도 작용했다.

●“유례없이 의사 5명 붙여줘”

동의보감이 높게 평가받는 이유는 치료보다 양생을 내세웠고 조선의 풍토에 잘 맞는다는 점 때문이다. 그런데 동의보감 서문에는 ▲수양(修養)을 우선으로 하고 약물치료를 다음으로 하라 ▲처방이 너무 많으니 요점을 추려라 ▲국산 약명을 명기해 백성들이 쉽게 쓸 수 있도록 하라는 내용이 명기되어 있다. 선조가 제시한 편찬기준 가이드라인이다.

신 교수는 “실록을 보면 선조가 어릴 적부터 잦은 병에 시달려 의학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면서 “그럼에도 기존 연구는 선조에 대한 부분을 의례적인 것으로 치부해 무시해온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

동의보감의 방대한 자료도 선조의 명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전쟁 뒤끝이라 책이 귀하던 시절에 국가가 보유하고 있던 각종 기록물 500여권이 허준에게 제공됐다. 이뿐만이 아니다. 선조는 동의보감 편찬을 위해 허준 외에도 정작, 양예수, 김응탁, 이명원, 정예남 등 총 5명의 의사를 투입했다. 전례가 없던 일이었다.

신 교수는 “동의보감에 있어 허준의 공이 절대적이긴 하지만, 왕(선조)의 전폭적인 후원과 초반에 큰 방향을 잡았던 5명 의사의 공헌도 잊어서는 안 된다.”고 결론지었다.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1-11-23 2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