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르드 ‘동굴의 샘’ 치유의 기적 소망하는 순례객 행렬

루르드 ‘동굴의 샘’ 치유의 기적 소망하는 순례객 행렬

입력 2011-11-30 00:00
업데이트 2011-11-3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성모마리아 발현 명소 가보니

‘천주교는 예수보다 성모 마리아를 더 숭배하는 종교.’ 천주교와 관련해 적지않은 이들이 품고 있는 오해 중 하나이다. 그러나 천주교계는 이 말에 정색하고 반대한다. “성모 마리아는 오로지 예수의 존재와 뜻을 밝힐 뿐이다.” 원죄의 속박 없이 잉태된 무염시태(無染始胎)의 성모 마리아. 성모 마리아의 성심(聖心)은 곳곳에 현현하지만 그 몸의 모습을 사람들에게 비쳤다는 발현처는 성모 성심을 더욱 도드라지게 하는 이적의 땅들이다. 순례단이 지난 18, 19일 잇따라 찾은 프랑스 남서부의 작은 시골마을 루르드와 파리 중심가 파리외방전교회 인근 ‘기적의메달 성당’은 예사롭지 않은 영성의 공간이었다.

이미지 확대
성모 마리아의 발현지로 가장 유명한 프랑스 루르드 동굴 앞에서 기도를 올리는 순례객들.
성모 마리아의 발현지로 가장 유명한 프랑스 루르드 동굴 앞에서 기도를 올리는 순례객들.
지금까지 가톨릭교회가 성모 마리아 발현과 그 발현때 이루어진 사적 계시를 인정한 곳은 모두 8곳. 이 가운데 루르드는 가장 널리 알려진 발현처로 연간 600여 만명의 순례객이 찾아든다. 1852년 성모 마리아가 14세 소녀 마리아 베르나데트 수비루에게 18차례에 걸쳐 발현했다는 성소. 성모 마리아는 가난한 시골 소녀 베르나데트에게 모습을 보이면서 ‘가엾은 죄인들의 회개를 위해 기도하고’‘이곳에 성당을 지을 것’과 ‘많은 사람이 이곳으로 행렬을 지어왔으면 좋겠다.’는 메시지를 남겼다고 한다. 그 계시를 따라 이곳에는 ‘동굴 성당’과 ‘비오 10세 성당’, ‘무염시태 성당’을 비롯해 30여개의 성당이 들어서 있다. 순례단이 루르드를 찾은 때는 성수기가 끝난 무렵이지만 루르드 샘물이 솟는 동굴과 성당은 미사와 기도에 참여하려는 순례객들로 붐비고 있었다.

치유의 능력을 가졌다는 동굴 샘물은 가장 많은 순례객이 찾는 곳. 베르나데트가 성모를 만난 이 동굴의 샘에서는 지난 153년 동안 끊임없이 하루 14만ℓ의 물이 흘러나와 순례객들의 식수와 침수로 사용되고 있다. 7000여건의 치유 사례가 접수돼 그 가운데 교황청이 67건을 인정한 이적의 샘이다. 얼마 전까지 이 샘 앞에는 병자들이 놓고 간 목발들이 걸려 있었지만 외적인 것보다 내면이 중요하다는 여론에 따라 모두 치워졌다고 한다.

이곳에 상주하는 사제는 30여명. 사제들이 매일 미사를 집전하고 있으며 부활절 일주일 전부터 11월 1일까지의 성수기엔 비오 10세 성당에서 성체강복 미사와 6개 국어로 진행되는 국제미사가 열린다. 이곳에서 한국인들의 성지순례를 안내하는 예수성심시녀회 소속 이 마리 스텔라 수녀는 “각국에서 자비를 들여 와 묵묵히 순례객들을 돕는 자원 봉사자가 8000여 명에 달한다.”며 “이곳을 다녀간 순례객은 이웃을 더 사랑하면서 살아야 하며, 그것이 성모님 뜻에 진정으로 따르는 것”이라고 귀띔했다.

루르드에 이어 순례객이 찾은 기적의메달 성당. 파리외방전교회에서 100m쯤 떨어진 이곳은 루르드보다 28년 앞서 성모 마리아가 발현한 곳이다. 성모 마리아가 카타리나 라브레(1806~1876) 수녀에게 발현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세워진 성당. 성모는 카타리나 수녀에게 발현해 “나는 원죄 없이 잉태됐다.”며 성모 공경에 대한 메달을 만들라는 계시를 전했다고 한다. 이후 신뢰심을 갖고 이 메달을 지닌 많은 이들에게 치유와 회개 등 기적 같은 일들이 일어나 ‘기적의 메달’로 부르게 됐다. 순례단이 성당을 찾은 때는 마침 오후 미사가 열리던 무렵. 세계 각국에서 찾아든 신자며 순례객들로 성당은 발 디딜 틈이 없었다. 미사가 끝난 뒤 이웃 박물관과 기념품점엔 기적의 메달을 사려는 발길들이 이어졌다. 천주교 성물방이며 웬만한 신자들의 묵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기적의 메달. 이곳을 찾는 이들이 어디 기적의 메달 하나쯤을 사려 모이는 것일까.

루르드·파리 글 사진 김성호 편집위원

kimus@seoul.co.kr

2011-11-30 22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