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브러리 이용 편하게 시스템 구축할 것”

“디브러리 이용 편하게 시스템 구축할 것”

입력 2013-01-08 00:00
업데이트 2013-01-0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립중앙도서관 민간경력 사무관 1호 이현주씨

국가대표 도서관인 국립중앙도서관(이하 중앙도서관)이 어째서 그 역량을 민간·대학 도서관에까지 발휘하지 못할까.

이미지 확대
이현주 사무관
이현주 사무관
중앙도서관 ‘도서관 민간 경력 사무관 제1호’ 이현주(39)씨가 이 조직에 발을 들여놓기 이전의 생각이다.

그는 지난해 행정안전부의 민간경력자 5급 일괄 채용에서 합격해 공무원이 됐다. 중앙도서관 디지털기획과에서 녹봉을 먹은 지 한 달 남짓. 공직에 대한 생각이 수없이 바뀌었다. 일주일 단위로 수백 권씩 쏟아지는 신간 목록을 사서 서너 명이 정리해야 하는 상황이라 하루종일 꼬박 앉아 일해도 시간이 모자라다. 충남대에서 문헌정보 전공으로 박사까지 마쳤고, 16년간 대학도서관에서 목록 업무부터 학술정보, 디지털업무, 관리까지 전 과정을 섭렵했지만, 중앙도서관의 업무량은 상상을 초월했다. “공무원은 칼퇴근”이라는 비아냥이 이제 억울할 지경이다.

수영, 라켓볼, 스포츠 클라이밍, 검도 등으로 단련된 체력이지만 한 달 만에 힘이 쪽 빠졌다.

대전의 직장을 그만두고 서울까지 따라와 준 남편과 다섯 살짜리 아들 얼굴을 보면서, 도서관 민간사무관 1호라는 책임감으로 그는 목표를 다잡는다.

7일 만난 그는 “동서양 신간뿐만 아니라 고문서, 서화 족보 등 고전 자료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디브러리’는 국립중앙도서관의 최대 장점이지만, 이용률이 낮다”면서 “더 수월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체계를 구축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최여경 기자 kid@seoul.co.kr

2013-01-08 2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