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초년생에 축의금 부담…7만원은 안될까요?”

“사회 초년생에 축의금 부담…7만원은 안될까요?”

김채현 기자
김채현 기자
입력 2023-01-07 10:29
업데이트 2023-01-07 13: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물가에 축의금도 상승…경제적 부담 커져

물가 상승으로 결혼식 축의금까지 올라 경제적 부담을 호소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7일 생활 정보를 나누는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사회 초년생에 축의금 10만원은 부담됩니다. 7만원은 안되나요”라는 제목으로 축의금 액수를 고민하는 글이 올라왔다.

‘지금 기본 축의금이 10만원인데 앞으로 더 오르는 것 아니냐’, ‘애매한 관계의 지인 결혼식엔 아예 가지 않게 된다’는 게 주된 내용이다.

최근 ‘밥을 먹으면 10만원, 참석하지 않으면 5만원’이 새로운 공식으로 자리 잡으면서 사회 초년생들은 허리띠를 더욱 졸라맬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부산에 사는 김씨(31)는 최근 결혼하는 지인들이 늘자, 축의금 걱정에 빠졌다.

그는 “요즘 축의금은 10만원이 기본인데 사회 초년생에게는 부담이다”이라며 “월급을 받아 저축하고, 생활비를 쓰고 경·조사비까지 내면 여력이 부족하다”고 토로했다.

부담을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 5만원과 10만원 사이 새로운 선택지가 생기면 좋겠다는 의견도 나온다.

“축의금 10만원 내고 아내와 밥 먹었다가 면박 당했어요”
앞서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블라인드’에는 “결혼식에 아내를 데려갔다가 선배로부터 면박을 받고 있다”는 내용의 글이 올라왔다.

글쓴이 A씨는 “2주 전 아내와 함께 선배의 결혼식에 참석했다”며 “과거 자신의 결혼식에 선배가 축의금을 10만원 냈길래 자신도 같은 금액을 냈는데, 이후 선배가 눈치를 줬다”고 말했다.

그는 “웃으며 넘겨버리려고 했는데 선배가 결혼식 후 ‘10만원 내고 아내까지 데려와 밥 먹었냐’며 면박을 줬다”며 “다음날에도 같은 말을 했다”고 덧붙였다.

A씨는 “거지인가, 아니 날 거지 취급하는 건가”라며 “말 나오자마자 10만원 더 줬으면 좋은데 이제 와 더 주면 ‘농담인데 왜 진지하냐’고 할 거 같아 열 받는다”고 말했다.

앞서 1인 식대가 8만원이 넘는 선배 결혼식에 축의금 5만원을 내고 ‘한소리’를 들었다는 사연이 전해지기도 했다.

이처럼 온라인상에서는 ‘축의금 문화’에 관련된 논쟁이 끊이지 않고 있다.

결혼정보업체 조사서 적정 축의금 ‘평균 7만 8900원’
결혼정보회사 듀오가 작년 3월 20∼30대 미혼남녀 3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도 적정 축의금 액수가 평균 7만 8900원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53.3%는 ‘10만원 미만’, 45.3%는 ‘10만원 이상 20만원 미만’이 적정하다고 답했다.

축의금 액수를 결정하는 가장 큰 기준으로는 친밀도(83.3%)가 가장 많이 꼽혔고, 경제적 상황(9.3%), 주변 사람이 내는 액수(4.0%)가 뒤를 이었다.
김채현 기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