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탁한 옥션에 경고”… 첫 자체 경매 나선 화랑협회

“혼탁한 옥션에 경고”… 첫 자체 경매 나선 화랑협회

김정화 기자
입력 2022-01-25 17:38
업데이트 2022-01-26 02: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측에 항의… 창립 46년 만에 시도
“서울·케이옥션, 젊은 작가 직거래
기타 미술가 저평가… 투기 조장”

이미지 확대
26일 사상 처음 열리는 한국화랑협회 경매에 출품된 ‘천재 화가’ 이인성(1912~50)의 ‘사과가 있는 정물’. 한국화랑협회 제공
26일 사상 처음 열리는 한국화랑협회 경매에 출품된 ‘천재 화가’ 이인성(1912~50)의 ‘사과가 있는 정물’.
한국화랑협회 제공
국내 화랑을 대표하는 단체인 한국화랑협회가 사상 처음 자체 경매를 연다. 국내 양대 경매사인 서울옥션, 케이옥션이 무분별하게 경매를 개최해 미술시장이 혼탁해지고 있다는 게 이유다. 이들 경매사는 각각 25, 27일 올해 첫 경매를 개최해 기대감이 커지는 가운데 화랑협회의 ‘경고’가 얼마나 효과적일지 주목된다.

화랑협회는 26일 웨스틴 조선 서울 호텔에서 회원 화랑들만 참가하는 경매를 개최한다. 박수근, 이인성, 손상기, 이우환, 박서보, 김기창, 김창열, 윤형근, 남관 등 국내외 작가 100여명의 작품이 출품된다.

화랑협회의 자체 경매는 1976년 설립 이후 첫 시도다. 화랑들이 모여서 경매를 연다는 것 자체가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다.

이번 경매는 기존 경매사들을 향한 항의성 행동으로 볼 수 있다. 미술시장이 급격히 과열된 2007년 양대 경매사와 화랑협회는 ‘신사협약’을 맺었다. 메이저 경매를 연 4회로 제한하고, 경매사가 구매한 국내 작가의 작품은 제외하고, 제작연도가 2~3년 이상 지난 작품을 출품하도록 하는 내용이었다.

하지만 경매사들이 이런 협약을 깨고 1차 시장(화랑)과 2차 시장(경매사) 간의 질서가 무너지고 있다는 게 화랑협회의 주장이다. 협회는 “경매사들이 젊은 작가와 직거래하면서 오히려 작가의 장기 성장을 막고, 주요 거래 이외의 작가들은 평가절하되는 경향이 있다”고 했다. 잦은 경매 개최로 투기를 조장한다는 비판도 나왔다.

협회는 이 같은 문제에 대해 수차례 면담과 공문 등으로 시정을 요구했지만, 양대 경매사가 번번이 무시했다고 밝혔다. 특히 자체 경매 개최라는 항의 방식을 택한 데 대해 ‘밥그릇 싸움’이 아니라고 강조했다. 황달성 화랑협회장은 “수익 사업이 아니라 화랑의 역할을 재강조하기 위한 자리”라고 설명했다.

예술경영지원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미술시장 규모는 약 9157억원으로 집계됐다. 2020년(3277억원)에 비해 3배나 급증했다. 경매사들은 화랑협회 경매에 대해 이렇다 할 공식 입장은 내놓지 않고 있다.
김정화 기자
2022-01-26 2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