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부체제 종식’ 사카모토가 이룬 일본 근대화

‘막부체제 종식’ 사카모토가 이룬 일본 근대화

입력 2014-02-08 00:00
업데이트 2014-02-0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카모토 료마와 메이지 유신/마리우스 B 잰슨 지음/손일·이동민 옮김/푸른길/632쪽/3만 5000

19세기 중반 일본은 서구의 위협에 직면했다. 1854년 미국의 무력 위협으로 ‘일·미 화친 조약’을 체결해 문호를 개방한 이후 막부(幕府·일본의 무사 정권) 멸망에 이르는 1867년까지 10여년은 외세에 오랜 기간 쌓여온 적대감과 긴장이 폭발한 시기였다.

이미지 확대
하지만 그 시기의 이념·정치적 격동은 1868년 메이지 유신(明治維新)을 촉발한 밑거름이 되기도 했다.

이 책은 가깝고도 먼 나라 일본이 중앙집권적 근대 국가를 이룬 정치·사회적 대변혁인 메이지 유신의 원동력과 유신에 이르는 전개과정에 초점을 맞췄다.

일본은 유신을 통해 통일된 국민국가로 발전했고 나아가 서구 강대국들과의 국제적 평등과 아시아 맹주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몸부림쳤다.

프랑스 혁명이 유럽 여러 나라에 영향을 미쳤듯 일본의 움직임은 아시아의 이웃 국가들에도 자극이 됐다. 한국의 김옥균, 중국의 쑨원(孫文)과 캉유웨이(康有爲), 필리핀의 독립운동가 에밀리오 아기날도, 인도의 독립운동가 수바스 찬드라 보스 등 아시아의 지도자들은 힘과 재능 측면에서 일본의 추진력을 자국에 도입해 보겠다는 꿈을 꾸기 시작했다.

책은 19세기 중반 일본의 시대상을 구체화하기 위해 그 내용을 일본 전체가 아닌 도사 번(土佐 藩)이란 지역으로 한정해 그곳 출신으로 메이지 유신 실현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던 무사 사카모토 료마(坂本龍馬)의 업적과 사상, 사회·경제적 상황을 조명한다. 사카모토는 막부 체제를 종식하고 일왕 중심의 중앙집권적 근대국가를 세운 일본의 국민 영웅. 하급 무사였던 그는 메이지 유신을 성공시킨 뒤 1867년 33세의 나이로 반대파의 칼에 죽음을 맞았다.

책은 에도 막부의 말기, 서구 열강의 개항 요구, 계급 간 갈등 등 메이지 유신 전후의 시대상황을 자세히 보여 주며 유신의 발생, 전개, 결과를 설명한다. 사카모토보다 비중이 적긴 하지만 하급 무사로 함께 활약했던 나카오카 신타로도 조명된다. 나카오카 역시 1867년 막부의 마지막 쇼군(將軍)이었던 게이키가 하야한 직후 암살됐다.

사카모토의 화려한 행적은 일본인 작가와 극작가들의 작품을 통해 호도된 측면도 적지 않다는 게 역사가들의 지적이다. 그런 점에서 책의 저자가 네덜란드 출신의 동양사학자라는 사실은 의미가 크다.

미국 프린스턴대 일본사 교수로 재직한 저자는 2000년 사망하기까지 일본사에 대한 세계적인 권위자로 인정받았다.

유상덕 선임기자 youni@seoul.co.kr
2014-02-08 18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