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초 사이 달라진 감정, 알아 보시겠습니까?

0.2초 사이 달라진 감정, 알아 보시겠습니까?

입력 2014-02-08 00:00
업데이트 2014-02-08 01: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언마스크, 얼굴 표정 읽는 기술/폴 에크먼 지음/함규정 옮김/청림출판/329쪽/1만 6000원

미국 TV시리즈 ‘라이 투 미’의 한 장면. 한 흑인교회에 폭탄을 설치한 용의자를 주인공 라이트먼 박사가 심문하고 있다. 용의자는 폭탄이 있는 교회가 어디인지 도통 말하지 않는다. 한창 수색 중인 위치를 말하자 용의자는 눈으로 한껏 인상을 쓰면서도 살짝 입꼬리를 올린다. 박사는 용의자가 비밀스럽게 이 상황을 즐기고 있다고 판단한다. 수색 장소가 잘못됐다는 의미이기도 했다. 박사가 다른 장소를 이야기하자 용의자는 대뜸 “말도 안 된다”면서도 한쪽 어깨를 미세하게 들썩인다. 박사는 용의자의 몸짓을 “내가 한 말에 정말 자신 없다”라는 뜻, 다시 말해 거짓말로 해석했다. 용의자는 입으로는 부정하면서도 정작 몸으로는 자신이 틀렸다는 사실을 말하고 있었던 것이다. 박사는 “거짓을 감추려고 최선을 다했지만 0.2초 만에 감정이 드러났다. 우리는 이런 걸 미세표정(micro-expressions)이라고 한다”고 설명한다.

넷 다 ‘놀라움’을 드러낸 표정이다. ① 과 ④ 는 눈모양이, ②~④ 는 입모양이 같다. 이 미세한 차이로 판단할 수 있는 감정은 의구심과 경탄, 망연자실이다. ① 의 놀라움은 “그런가요? 정말?”이라고 물을 법한 의구심이 섞였다면, ② 는 감탄사가 따라 나올 경탄을 품고 있다. 눈이 풀린 ③ 이 망연자실이라면, ④ 는 복합적인 놀라움이다. 청림출판 제공
넷 다 ‘놀라움’을 드러낸 표정이다. ① 과 ④ 는 눈모양이, ②~④ 는 입모양이 같다. 이 미세한 차이로 판단할 수 있는 감정은 의구심과 경탄, 망연자실이다. ① 의 놀라움은 “그런가요? 정말?”이라고 물을 법한 의구심이 섞였다면, ② 는 감탄사가 따라 나올 경탄을 품고 있다. 눈이 풀린 ③ 이 망연자실이라면, ④ 는 복합적인 놀라움이다.
청림출판 제공
무표정한 얼굴에서 코 근육만 움직여 콧잔등에 주름을 잡았다면 그것은 ‘경멸’의 뜻이다. 드라마 속 라이트먼 박사의 말대로라면 “배우자가 내게 이런 표정을 보인다면 그 결혼은 끝장나는 것”이다. “미세표정은 사람마다 다 다른가”라는 질문에 라이트먼 박사는 “평범한 주부이건, 테러범이건 감정을 보여주는 미세표정은 같다”고 단언한다.

‘라이 투 미’ 마니아를 만들어낸 라이트먼 박사의 실제 모델은 비언어커뮤니케이션 분야의 전문가로 유명한 미국의 심리학자 폴 에크먼(80) 박사다. 그가 평생 연구한 이론을 집약한 ‘언마스크, 얼굴 표정 읽는 기술’(Unmasking the Face)이 국내 출간됐다. 에크먼 박사는 수천개의 얼굴 근육을 분석한 ‘얼굴지도’를 만들고, 얼굴의 두세 부위의 변화를 포착해 감정을 읽어냈다. 1초 미만의 ‘미세표정’이 중요한 것은 그것이 진짜 감정이기 때문이다. 박사는 “사실 5~10초 동안 계속되는 감정의 표정은 드물다. 만약 어떤 감정이 오랫동안 지속된다면 정말 강렬한 것이다. … 그러나 오랫동안 지속되는 얼굴 표정은 진짜 감정을 나타내지 않을 때가 많다. 이는 감정을 과장해서 연기하는 ‘모방표정’”이라고 규정한다. 박사의 미세표정 분석은 매우 정확해서 미 연방수사국(FBI)과 중앙정보국(CIA)은 여전히 그의 조언을 받고 있고, 미국 심리학회는 ‘위대한 과학 기여상’을 수여했다.

이 책은 놀라움, 두려움, 혐오, 화, 행복, 슬픔 등 대표적인 표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테면 ‘놀라움’은 얼굴의 두 부분만 보면 읽어낼 수 있다. 눈과 입이다. 평상시의 눈짓에 턱을 아래로 떨어뜨려 입이 벌어졌다면 ‘놀라서 말이 안 나오는 상황’이다. 눈이 커지면서 눈썹이 올라간 얼굴에 입이 벌어진 정도에 따라 놀라움의 강도도 읽어낼 수 있다. 입술 하나로도 감정을 가려낼 수 있다. 비슷한 크기와 모양으로 입을 벌리고 있어도 윗입술의 긴장도에 따라 두려움과 놀라움을 알아내는 식이다.

심리분석이나 추리물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이 책에 매우 흥미를 느낄 듯하다. 다양한 사진들이 덧붙여 있어 이해하기도 쉽다. 과학자가 분석하는 미세표정까지 알 필요가 있을까 하는 의문을 가질 수도 있겠다. 크고 작은 물건의 가격을 흥정할 때, 공부하고 있었다고 우기는 아이를 살필 때, 부하 직원이 회식을 하고 싶은지 진짜 속내가 궁금할 때…. 실생활에 얼마든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지 않을까.

최여경 기자 cyk@seoul.co.kr
2014-02-08 19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