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와 차 한잔] ‘북유럽 이야기’ 펴낸 김민주 씨

[저자와 차 한잔] ‘북유럽 이야기’ 펴낸 김민주 씨

입력 2014-02-08 00:00
업데이트 2014-02-0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북유럽 개방·합리적 인식이 선진 사회모델 만들었죠

‘북유럽’ 하면 우리에게 어떤 이미지가 먼저 떠오를까. 바이킹, 장난감 레고, 작가 안데르센, 화가 뭉크, 팝스타 아바, 자동차 볼보, 반지의 제왕, 이케아, 사우나 등이다. 뿐만이 아니다. 세계 흐름을 주도하는 디자인과 교육혁명, 선진복지 국가의 모델 같은 단어들도 잇따라 떠오른다. 그렇다면 그들의 생각과 생활양식, 미래에 대한 비전, 살아가는 방식은 어떨까. 마케팅컨설팅 전문가인 김민주씨는 ‘50개의 키워드로 읽는 북유럽 이야기’를 통해 명쾌한 답을 내놓았다. 평범한 북유럽 여행기를 넘어 그곳에 발 딛고 사는 사람들의 사고 틀 너머까지 들여다봤다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이미지 확대
마케팅컨설팅 전문가인 김민주씨는 북유럽 국가들을 살펴보면 요즘 국가적 화두인 ‘창조경제’를 구현하는 데 크고작은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마케팅컨설팅 전문가인 김민주씨는 북유럽 국가들을 살펴보면 요즘 국가적 화두인 ‘창조경제’를 구현하는 데 크고작은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최근 북유럽이 전 세계적인 관심을 모으는 것은 경쟁력, 창조 역량, 행복, 투명성 등 여러 부문에서 높은 순위를 자랑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북유럽 5개국의 인구는 모두 합쳐 봐야 2500만여명, 즉 우리나라의 절반 정도죠. 그런데 어떻게 경제·사회·문화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지 궁금하지 않습니까.”

저자는 책을 쓰기 전 북유럽을 어떤 방식으로 소개할지 고민이 많았다고 한다. 그러다 국가별로 딱딱하게 소개하는 것보다는 역사, 경제, 사회, 문화, 지역 등으로 나눠 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민족, 역사, 문화 등을 거슬러 올라가면 국가 간 차이점보다는 공통점이 많기 때문이다.

“북유럽은 오랫동안 러시아 등 외세의 지배를 받아왔고 2차대전 때는 나치에 점령되는 등 아픈 역사를 안고 있습니다. 그러나 사회 구성원들의 개방적이고 합리적인 인식과 건실한 경제발전을 토대로 선진 사회모델을 이루어낼 수 있었습니다..”

책은 북유럽 문화토양이 왜 탁월한지, 그 문화를 주도하는 인물들과 사상, 대표 상품 브랜드를 둘러싼 이야기 등을 입체적으로 담았다. 저자는 최근 주목받는 북유럽, 이케아, 창조경제 등을 주제로 많은 강의를 하고 있으며 현재 트렌드 및 마케팅컨설팅 회사인 ‘리드앤리더’ 대표이사를 맡고 있다.

김문 선임기자 km@seoul.co.kr
2014-02-08 20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