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내밀한 영역 ‘내 아픔’을 말하다

가장 내밀한 영역 ‘내 아픔’을 말하다

이슬기 기자
입력 2020-11-15 17:26
수정 2020-11-16 02: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엄살이라 손가락질 않길”… 두 에세이 출간

이미지 확대
이다울 작가는 어느 날 느닷없이 까닭 없는 고통이 엄습한 삶을 솔직하게 써 내려간 에세이를 출간했다. 웨일북 제공
이다울 작가는 어느 날 느닷없이 까닭 없는 고통이 엄습한 삶을 솔직하게 써 내려간 에세이를 출간했다.
웨일북 제공
통증은 철저히 개인적이어서, 남들에게 이해받기 어렵다. 원인을 알지 못하면 스스로도 이해하지 못할 수 있다. 가장 개인적인 영역을 설명하려는 두 에세이의 출간은 그런 점에서 반갑고 용기 있는 시도다.
이미지 확대
이다울 작가의 ‘천장의 무늬’(웨일북)는 느닷없이 찾아온 원인 모를 고통에 대해 썼다. 씨름판에서 두 배 몸집의 아이를 넘겨 젖힐 만큼 힘이 넘쳐흐르던 소녀에게 갑자기 통증이 찾아온다. 양치를 할 때 턱이 벌어지지 않고, 신발을 신다가 병뚜껑을 열다가 온몸에 쥐가 난다. 걸을 수도, 앉아 있을 수도 없다. 온갖 병원을 다녀 봐도 병명을 찾지 못한 그에게 붙은 세간의 딱지는 ‘엄살’ 또는 ‘게으름’이었다.

작가는 한기에 예민한 통증을 유난스럽게 생각하는 엄마에게 서운함을 느끼고, 오래 서 있을 수 없는 탓에 원하는 일자리에 지원하는 것조차 연습이 필요하다. 통증은 식욕의 부재와 우울감을 불러오고, 할 수 있는 일과 없는 일의 구분을 만들어 간다. 침대에 누워서는 아픔과 무관하게 즐길 수 있는 낭독회와 전시회를 상상한다. ‘천장의 무늬’라는 제목에는 그가 침대에 누워 있으며 보냈을 그 시간과 공간, 불안과 상상이 얼룩져 있다.

강이람 작가의 ‘아무튼, 반려병’(제철소)은 16년 차 직장인으로서 겪은 ‘잔병치레의 역사’다. 잔병이 만든 ‘수동태의 역사’와 더불어 아픔의 틈새를 건드리는 게 특징이다. 작가에겐 소위 ‘저질 체력’, ‘약골’, ‘걸어 다니는 종합병원’ 등의 별명이 붙었다. 첫 직장에서는 폭음으로 숙취와 각종 위장병을 얻었고, 과로에 시달렸던 두 번째 직장에서는 허리 디스크를 얻었다. 긴 재활치료 끝에 사직서를 내는 그에게 두 번째 직장의 본부장은 말한다. “너 일이 싫은 건 아니잖아? 라꾸라꾸침대 놔 줄 테니 중간중간 누워서 일해.”(24쪽)
이미지 확대
강이람 작가는 16년 차 직장인의 크고 작은 잔병치레 역사를 솔직하게 써 내려간 에세이를 출간했다. 제철소 제공
강이람 작가는 16년 차 직장인의 크고 작은 잔병치레 역사를 솔직하게 써 내려간 에세이를 출간했다.
제철소 제공
이미지 확대
작가는 타인의 아픔에 관한 우리의 양태를 ‘공감’의 뜻을 가진 두 단어로 설명한다. ‘같이, 일치하게’라는 뜻을 가진 접두사 ‘sync-’가 붙은 ‘sympathy’는 상대의 상황을 내 경험 중 비슷한 경험을 불러들여 느끼는 것이다. 아프다는 상대 앞에서 자신의 비슷한 경험을 전시하듯 늘어놓으며 ‘별것 아니라는’ 투로 치부하는 경우다. 그는 우리에겐 ‘안으로’라는 뜻을 가진 접두사 ‘en-’이 붙는 ‘empathy’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상대방의 상황을 있는 그대로 느끼는 태도다.

책들은 나의 아픔과 타인의 아픔을 함께 경청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런 점에서 ‘천장의 무늬’에 적힌 집필 계기가 주는 울림이 크다.

‘이 책은 억울함에서 시작되었다. 나의 몸과 아픔이 납작해지는 것을 구해 내려는 시도에서였다. (중략) 모두의 아픔이 보다 자세히 말해졌으면 좋겠다. 엄살이라는 말이 우리를 위축시키지 않도록, 적고 말하고 듣는 일이 원활해졌으면 한다.’(5~6쪽)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2020-11-16 24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