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른 숲, 五感을 깨우다] “15분 산책땐 스트레스 호르몬 13% 줄어, 말로만 치유효과 아닌 과학적 입증 필요”

[푸른 숲, 五感을 깨우다] “15분 산책땐 스트레스 호르몬 13% 줄어, 말로만 치유효과 아닌 과학적 입증 필요”

입력 2013-06-25 00:00
수정 2013-06-25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지바大 미야자키 요시후미 교수

“산림치유가 한때 ‘붐’으로 그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치유 효과에 대한 과학적 근거가 뒷받침돼야 합니다”

이미지 확대
미야자키 요시후미 일본국립지바대학교 교수
미야자키 요시후미 일본국립지바대학교 교수
산림치유 권위자인 일본국립지바대학교 미야자키 요시후미 교수(환경건강필드과학센터)는 숲의 건강증진 효과와 관련해 경험이나 느낌이 아닌 ‘과학적인 입증’ (Evidence Based Medicine·EBM)필요성을 강조했다.

1980~90년대 일본에서 빠르게 확산됐던 ‘산림욕’을 예로 들었다. 미야자키 교수는 “일광욕이나 해수욕처럼 산림욕이 큰 인기를 얻었지만 ‘어떻게 좋다’는 근거를 제시하지 못하면서 한 순간 시들해졌다”면서 “최근 숲을 찾는 사람이 줄어든 것은 이때의 학습효과가 반영된 결과”라고 지적했다.

‘산림치유’(산림테라피)라는 용어는 미야자키 교수가 2003년 처음 사용했다. 치유는 생리학적 안정과 면역수준을 회복해 병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 예방의학 개념이다. 인간은 자연에서 진화했다는 사실과 숲에 있는 것이 인간에게 유익하다는 확신에서 비롯됐다. ‘산림요법’이라는 용어가 있지만 병을 고친다는 의미가 내재돼 있어 부적절했다.

2004년 정부 지원 등을 받아 산림치유 연구가 시작됐다. 의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예방의학적 효과와 산림의 재생이 핵심 과제였다. 대학에서 농업을 전공한 뒤 의대에서 조교수로 활동하며 ‘학문 간 벽’을 경험했기에 과학적 재연성을 입증하는 것이 시급했다. 세계 최초로 630명에 대한 생리적 실험을 거쳤다.

미야자키 교수는 “15분 숲 산책시 스트레스 호르몬 분비가 12.7% 줄어들고 교감신경 활동이 5.2% 억제된다는 결과에 대한 검증이 이뤄졌다”면서 “일본의대 연구팀의 면역 활성화 효과가 더해지면서 학계에서도 관심을 갖게 됐다”고 소개했다. 산림치유는 검증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는 점에서 휴양, 산림욕과 구별된다. 지난해 일본의 산림치유객은 40여만명으로 추산되지만 치유의 다양화, 차별화가 쉽지 않은 이유다. 그는 산림치유 효과와 관련해 장기치료보다 지속적인 접촉을 주문한다. 이틀간의 산림치유로 회복한 면역체계가 최대 한달까지 유지된다는 점을 상기시켰다.

그는 한국과의 산림치유분야 협력에도 큰 기대를 나타냈다. 독일이 법적·제도적으로는 가장 앞서 있지만 정서가 맞지 않기 때문이다. 미야자키 교수는 “한국이 산림치유를 국민복지로 접근한 것은 매우 바람직하고, 법적·제도적 기반을 갖춘 것은 의미가 있다”면서 “개인차(취향)를 반영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도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3-06-25 15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