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 막걸리, 뻔한 맛 지워라…펀한 맛 즐겨라

[커버스토리] 막걸리, 뻔한 맛 지워라…펀한 맛 즐겨라

입력 2014-09-27 00:00
업데이트 2014-09-27 00: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름 빼고 다 바꿔! 막걸리의 고군분투

‘보글보글’

이미지 확대
지난 24일 충남 공주시 사곡면 호계리에 있는 한 양조장에서 한 직원이 지역 특산품 밤을 원료로 만든 ‘알밤 막걸리’를 병에 자동주입하는 작업을 지켜보고 있다. 공주 이언탁 기자 utl@seoul.co.kr
지난 24일 충남 공주시 사곡면 호계리에 있는 한 양조장에서 한 직원이 지역 특산품 밤을 원료로 만든 ‘알밤 막걸리’를 병에 자동주입하는 작업을 지켜보고 있다.
공주 이언탁 기자 utl@seoul.co.kr
이미지 확대
막걸리는 혀가 아니라 소리와 향으로 먼저 맛을 본다. 지난 24일 충남 공주시 사곡면 호계리에 있는 한 시골 양조장. 들어서자마자 대형 담금조(술탱크)에서 술이 익는 소리가 들린다. 담금조에 코를 가까이 댔다. 막걸리가 발효하면서 나오는 탄산가스가 톡 쏜다. 누룩실에 들어갔다. 막걸리에 넣는 쌀과 밀가루를 찌면서 나오는 달콤하면서도 고소한 향기가 가득 찼다. ‘꾸~울꺽’, 군침이 절로 났다.

이렇게 맛있는 막걸리가 위기다. 한때 ‘막걸리광풍(狂風)’이 불었던 게 무색할 지경이다. 2011년 이후 막걸리시장은 내수와 수출이 다 줄었다. 대기업 매출액은 곤두박질쳤다. 문을 닫는 소규모 양조장도 속출했다. 막걸리 생산량은 2011년 44만 4000㎘까지 치솟았다. 하지만 2012년 이후 점차 줄어들었다. 지난해에는 37만 8000㎘까지 떨어졌다.

다행히 이곳 양조장은 일이 많다. 11명의 직원이 하루종일 바쁘게 뛰어다닌다. 그래도 물량을 대는 게 쉽지 않다. 매출액도 덩달아 매년 는다. 2009년 6억원에서 2011년엔 10억원, 지난해엔 14억원을 찍었다. 올해는 16억원에 육박할 전망이다.

불황이라는 막걸리 시장에서 이 회사가 살아남은 비결은 단순하다. 평범한 쌀 막걸리라는 ‘헌옷’을 벗어 버렸다. 대신 공주 지역의 특산품인 밤을 넣은 ‘알밤 막걸리’라는 ‘새 옷’으로 갈아입었다. 기존 쌀 막걸리와 차별화된 달달하고 걸쭉한 맛으로 소비자의 입맛을 금세 사로잡았다.

이처럼 막걸리도 살아남기 위해 다양한 ‘변신’을 하고 있다. 막걸리 스무디, 맥주 맛 막걸리는 물론 자몽맛이 나는 탄산 캔 막걸리, 유자 막걸리도 나왔다. 수박, 블루베리, 파인애플, 홍초 등을 넣은 막걸리 칵테일도 막걸리바의 잘나가는 메뉴다.

이곳 양조장을 운영하는 임헌창(44) 사장은 “막걸리 시장의 98%가 비슷한 맛의 쌀 막걸리지만 이대로는 막걸리 붐을 일으키지 못한다”면서 “각 지역의 특산품을 원료로 한 색다른 맛의 지방 특색 막걸리들이 많이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임 사장은 지난달 말 공주 지역 양잠 사업소에서 생산된 오디(뽕나무 열매)를 넣은 신제품을 내놨다.

기존 주류대리점에서 벗어나 판로를 넓힌 점도 매출 증가로 이어졌다. 임 사장은 “2012년 들어 매출이 잠시 주춤했지만 편의점이나 대형마트, 막걸리 프랜차이즈 주점 등 새로운 거래처를 뚫고 서울, 경기, 대전 등 대도시에도 납품하기 시작해 오히려 매출이 늘었다”고 말했다.

공주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2014-09-27 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