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계종 “불교계 불법사찰·정치공작 규탄”

조계종 “불교계 불법사찰·정치공작 규탄”

입력 2012-06-13 00:00
업데이트 2012-06-13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총리실·검찰에 항의서한

조계종은 불교계에 대한 불법사찰 사태<서울신문 6월 5일 자 9면>와 관련해 불교계 대책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강력 대응에 나섰다.

이미지 확대
조계종 중앙종회 수석부의장 정묵(오른쪽 두 번째) 스님이 12일 서울 종로구 견지동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에서 열린 이명박정부의 불법사찰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에서 불교계의 의견을 밝히고 있다. 도준석기자 pado@seoul.co.kr
조계종 중앙종회 수석부의장 정묵(오른쪽 두 번째) 스님이 12일 서울 종로구 견지동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에서 열린 이명박정부의 불법사찰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에서 불교계의 의견을 밝히고 있다.
도준석기자 pado@seoul.co.kr
조계종 중앙종회와 총무원은 12일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2층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00만 불자와 종도들을 대신해 불교계를 대상으로 한 불법사찰과 정치공작을 규탄한다.”고 밝혔다.

조계종은 중앙종회 의장단·상임분과위원장 명의의 성명을 통해 “검찰 조사 결과 국무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이 총무원장과 종회의장 등 종단 주요 지도자들을 불법 사찰해 왔음이 드러났다.”며 “부처님오신날을 앞두고 훼불수준 내지는 ‘불교죽이기’식 보도가 휘몰아친 배경 역시 불법사찰 정권의 의도가 있었던 것으로 판단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조계종은 특히 “2008년 범불교도대회 전후로 중앙종무기관 주요 소임자및 주요사찰 주지에 대한 계좌를 추적하고 총무원 IP 추적을 통해 종무원 개인정보를 무더기로 확인한 행위는 공권력의 의도된 횡포”라며 정부에 대해 종단 지도자 스님들에 대한 불법사찰·정치공작의 진상과 불법사찰 대상자 및 이유를 낱낱이 밝힐 것을 요구했다.

한편 조계종은 기자회견을 마친 뒤 총리실과 검찰을 방문, 항의서한을 전달했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2-06-13 6면
관련기사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