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계종 불법사찰 왜 했나

조계종 불법사찰 왜 했나

입력 2012-06-13 00:00
업데이트 2012-06-13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종교차별 항의·4대강 반대 갈등 지원관실, 불교계 동향 파악한 듯

국무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이 조계종 총무원장을 지낸 지관 스님과 조계종 중앙종회 의장인 보선 스님을 사찰해 온 것으로 드러나면서 구체적인 사찰 내용과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12일 “확인된 문건 400건 가운데 발견된 불교계 인사는 보선 스님 한 분뿐이며 사찰 내용도 단순 동향 보고 수준으로 미행이나 강요 행위가 확인되지 않아 불법성을 찾을 수 없었다.”고 밝혔다.

하지만 현 정부 초기 미국산 소고기 수입을 반대하는 촛불시위의 배후를 찾아내기 위해 영포(경북 영일·포항)라인 등 비선조직을 중심으로 탄생한 지원관실의 주된 임무가 반정부 세력에 대한 견제 및 감시였던 만큼 불교계 집중 사찰도 비슷한 연유에서 진행된 것으로 보인다. 실제 불교계는 2008년 8월 정부의 종교차별에 항의하는 범불교도대회 이후 조계종 중앙종회 임원을 비롯해 주요 사찰 주지에 대한 대규모 계좌 추적과 미행이 벌어졌다고 주장하고 있다.

2008년 초 정부가 관리하는 수도권 대중교통정보시스템 ‘알고가’에서 사찰 표기가 빠지고 같은 해 7월 경찰이 촛불시위 수배자 검거 과정에서 자승 총무원장과 지관 스님이 탄 승용차를 과잉 검문하면서 정부와 불교계가 큰 갈등을 겪었다. 당시 청와대는 공무원의 종교 편향 행위를 금지하는 국가공무원 복무규정 개정안을 마련하는 등 겉으로는 불교계 감싸기에 나섰으나 양측의 갈등은 계속됐다. 특히 이명박 대통령이 국가 조찬기도회에서 무릎을 꿇고 기도한 일과 템플스테이 예산 삭감 문제 등으로 불교계의 불만이 고조됐고 불교계가 ‘4대강 반대’ 등을 적극적으로 주장하자 지원관실이 나서서 불교계 동향을 사찰한 것이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조계종 관계자는 “촛불집회 당시 스님들에 대한 광범위한 계좌 추적이나 IP 추적 같은 사찰 증거가 속속 들어오고 있다.”면서 “검찰이 동향 보고 차원으로 사실을 무마하고 이대로 수사를 종결한다면 종단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최재헌·홍인기기자 goseoul@seoul.co.kr

2012-06-13 6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